|
border=0> |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8일 64개 시민사회담체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대북추가조치에 대한 반대입장을 명확히 하라고 우리 정부에 주문했다. [사진-통일뉴스
이현정기자] |
| 오는 11일(현지시간
10일) 미 백악관에서 개최될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64개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8일 오전 11시 광화문 환경재단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정부가 미측에 한반도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요구하고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등 한미동맹의 지역 동맹화에 대한 반대 입장을 확실히
전달하라고 촉구했다.
통일연대와 민중연대 등 통일.민중운동진영과 환경, 여성, 인권, 평화 관련 시민.종교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현 시기를 "매우 위험하고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라 규정하고 이번 정상회담에서 "우리 민족의 운명과 직결되는 주요 의제"가
논의되는 만큼 "노 대통령은 부시 대통령에 대하여 대북 추가제재조치를 반대한다는 명확한 의사를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미정상회담에선 북핵문제와 한미동맹 재조정 문제 등이 논의되며 일각에선 이번 회담이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여부를 가름 짓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은 남북관계 개선이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비롯한 한반도
평화실현에 기여하는 것이며, 미국이 간섭할 사안이 아님을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라 강조했으며 특히 미국이 한국 정부에 '동맹에 대한 지역적
의미규정',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재해석 또는 한미안보선언 제정', '방위협력지침 제정 및 해외출동사전동의제 도입'등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을
사실상 허용하는 합의를 강요해올 경우 반드시 반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 참석자 중에는 한미정상회담 개최
자체를 달가워하지 않는 인사들도 적지 않았다. 6.15민족통일대축전을 코앞에 두고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오히려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남북
화해와 평화의 물결에 찬물을 끼얹을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역대 대통령중
미국 가서 '기합' 안 받고 온 사람들 없다"
border=0> |
▶기자회견문을 낭독하는 평통사 홍근수 대표와 평화를만드는여성회 김숙임
대표. [사진-통일뉴스
이현정기자] |
| 민중연대 정광훈 상임의장은
"역대 대통령 중 미국에 가서 이른바 '기합'을 안 받고 온 사람들이 없다"고 지적하고 "노무현 대통령도 '한미비정상회담'을 갖고 올 것이라는
걸 뻔하게 알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남북 간 교류에) 누가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통일연대 한상렬 상임대표의장은 7일
군산비행장에 스텔스기(F-117)15대가 배치된 사실을 들어 미국이 "우리 민족이 공조하고 함께 하는 것을 방해하고 분열시키려 한다"고 비난하고
"6.15축전을 앞두고 한미정상회담이 열리는 것이 상당히 유감스럽다"고 우려했다.
이어 "김대중 대통령도 제 2정상회담을
추진하려던 차에 미국 때문에 주저앉았다"며 "노 대통령은 그러지 않길 바란다. 진정 우리 민족의 평화를 위해 개혁중의 개혁이 민족공조라는 것을
확실히 하고 적극적으로 임해주길 간절히 바란다"고 호소했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는 미 국방부 관계자의 말을 빌어 북 내부붕괴
사태 발생 시 군사적 개입을 골자로 한 '작전계획 5029'가 NSC의 요구에 의해 개념계획으로 전환됐지만 미국은 "개념계획이건 작전계획이건
미국이 북한에 관여할 수 있는 계획을 갖고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라 얘기하고 있다"고 전하고 미국이 아직 대북 선제공격 계획을 철회하지 않았음을
직시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 대표는 미국이 "이번 정상회담에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신뢰회복이라는 차원에서 압박을 가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며 미국의 정책이 수정되지 않은 점을 고려해 회담에 임하라고 요구했다.
민주노총 이수호 위원장도 "노무현 대통령이
이러한 미국의 의도에 굴복하고 우리 민중들의 삶 보다는 정치적 문제와 야욕 앞에 미국의 정책을 계속 유지하는 쪽으로 간다면 우리의 희망은
없어지리라고 생각한다"며 "우리의 경고를 소홀히 하거나 함부로 해서 전체가 어려움 속에 빠지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border=0> |
▶청와대와 미 대사관에 전달될 서한. [사진-통일뉴스
이현정기자] |
| 64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정부에 바라는 요구를 서한에 담아 청와대와 미 대사관에 전달했으며 사회를 맡은 정대연 민중연대 정책위원장은 "서한전달로 그치지 않고
한미정상회담에서한국정부가 어떤 결과를 내올 건지 예의 주시하겠다"고 경고했다.
각계 시민사회단체들의 눈과 귀가 쏠리고 있는
한미정상회담은 의전 등을 간소화한 실무회담(working visit) 형식으로 진행되며 한미동맹, 동북아 협력문제, 그리고 북한 핵문제와 관련한
의제가 주로 논의될 예정이다.
한편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는 이날 오후 브리핑을 통해, 한미정상회담에서 "양국 정상들은 정상회담과
오찬협의를 통해 한·미동맹 발전방향과 북핵문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방안에 대해 격의 없이 의견을 교환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한미정상회담이 2기 부시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다는 점을 강조하고 "2005년 한.미정상이 합의한 한.미 간 포괄적, 역동적
동맹관계를 더욱 내실 있게 심화 발전시키는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width="90%" align=center bgColor=#fffff0>
|
|
style="BORDER-RIGHT: rgb(102,102,102) 1px solid; BORDER-TOP: rgb(102,102,102) 1px solid; BORDER-LEFT: rgb(102,102,102) 1px solid; BORDER-BOTTOM: rgb(102,102,102) 1px solid"
align=middle>64개 참가단체 명단
|
style="BORDER-RIGHT: rgb(102,102,102) 1px solid; BORDER-TOP: rgb(102,102,102) 1px solid; BORDER-LEFT: rgb(102,102,102) 1px solid; BORDER-BOTTOM: rgb(102,102,102) 1px solid">
face=굴림 color=#2f2f00 size=3>
경기여성연대(최미정), 교회개혁실천연대(박득훈), 녹색연합(박영신), 두레방(유영님), 문화연대(김정헌),
민가협양심수후원회(권오헌), 민족자주평화통일중앙회의(김을수),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이석태),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이명순),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오종렬),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조순덕), 반미여성회(이미혜), 부산여성회(박영미), 불교인권위원회(지원스님),
불교평화연대(진관스님), (사)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강민조), (사)백범정신실천겨레연합(한명수),
(사)여성문화예술기획(이혜경),
(사)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김경남), 사월혁명회(노중선), 수원여성회(이기원), 울산여성회(이은미), 원불교사회개벽교무단(김대선),
원불교인권위원회(이경우), 6.15남북공동선언실현과한반도평화를위한통일연대(한상렬), 21C코리아연구소(조덕원), 전국농민회총연맹(문경식),
전국목회자정의평화실천협의회(김병균, 박덕신),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수호), 전국민중연대(정광훈), 전국빈민연합(김흥현, 이필두),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윤금순), 전북여성단체연합(김은경), 정의평화를위한기독인연대(김동한, 이영자, 최영숙),
조국통일범민족연합남측본부(이규재), 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법타), 천주교인권위원회(변연식),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문규현),
참여연대(박상증, 이선종), 초록정치연대, 코리아평화연대(김영만), 통일광장(권낙기, 임방규), 통일여성회(이정이), 평화네트워크(정욱식),
평화를만드는여성회(김숙임), 평화박물관(이해동),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문규현, 홍근수), 평화통일시민연대(이장희),
한국기독교장로회생명선교연대(최의팔), 한국기독교장로회평화통일위원회(나핵집), 한국기독자교수협의회(김용복), 한국기독청년협의회(윤석민),
한국기독학생총연맹(박민성),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용득),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송효원),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최상림),
한국여성단체연합(남인순), 한국여성의전화연합(박인혜), 한국성폭력상담소(이미경), 한국여신학자협의회(곽분이), 한국YMCA전국연맹(이학영),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신혜수), 한국청년단체협의회(전상봉), 함께하는시민행동(이필상), 환경운동연합(윤준하, 신인령) (이상 64개
단체)
개별인사 (가나다순) 김경호, 김흥수, 리영희, 문정현, 박용일, 박형규, 배종렬, 이병일, 이재봉, 전병생, 조헌정, 표명렬(이상
12인)
|
|
작성일자:2005-06-08 오후 4:19:45 / 수정일자:2005-06-08 오후
4:19:45
href="http://www.tongilnews.com/article.asp?menuid=101000&articleid=55674&email=Y">
src="http://www.tongilnews.com/images/sub/art_mail.gif" border=0>
href="http://www.tongilnews.com/article.asp?menuid=101000&articleid=55674&printflag=Y">
src="http://www.tongilnews.com/images/sub/art_print.gif" border=0> |
|
align=center bgColor=white>
|
|
style="BORDER-RIGHT: rgb(152,152,152) 1px solid; BORDER-TOP: rgb(152,152,152) 1px solid; BORDER-LEFT: rgb(152,152,152) 1px solid; BORDER-BOTTOM: rgb(152,152,152) 1px solid"
bgColor=#dfdfdf colSpan=3 height=23> 관련기사
1. |
href="http://www.tongilnews.com/LibraryContent.asp?menuid=701000&articleid=8902">한미정상회담에 즈음한 시민사회 입장
|
2005-06-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