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보도자료] '민주노총의 현재 그리고 미래' 10주년 기념토론회 개최

작성일 2005.11.11 작성자 교육선전 조회수 3164
Atachment
첨부파일 다운로드
[보도자료] '민주노총의 현재 그리고 미래' 10주년 기념토론회 개최

- 일시 : 2005년 11월 11일 오후2시∼5시30분
- 장소 :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
- 참석 :
     - 사회 : 김상곤 교수(한신대,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자문위원장)
     - 발제 : 이상학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장
              조돈문 교수(가톨릭대)
              노중기 교수(한신대)
              김동춘 교수(성공회대)
              신광영 교수(중앙대)
     - 토론 : 조건준 (민주금속연맹 조직국장)
              이성우 (공공연맹 사무처장)
              이주호 (보건의료노조 정책실장)
              최동식 (인천본부 부본부장)

1. 이번 토론회는 민주노총의 10년을 돌아보고 노동운동의 현주소를 점검해보는 계기가 되는 뜻깊은 자리입니다.

2. 또한 이 자리에서 민주노총의 위기요인과 혁신방향에 대한 전망을 통해 노동계급 계급형성의 시각에서 민주노조운동의 현재와 방향이 제시될 것입니다.

3. 전투적 노조주의와 합의주의 노조운동 등 10년 경험의 반성을 통해 민주노조운동의 새로운 모델을 향한 방안을 제기할 것입니다.

4.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한 한국노동운동의 위기와 대안을 짚어보는 민주노총 10주년 기념토론회에 기자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취재 부탁드립니다.끝.

※ 첨부파일 : 민주노총의 현재 그리고 미래
※ 참조 : 토론회 진행목차

<토론회 진행목차>

□ 사회 : 김상곤 (한신대 교수,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자문위원장)

□ 발제 1
민주노총의 위기요인과 혁신방향 (이상학 민주노총 정책연구원장)
  
□ 발제 2
노동계급 계급형성 시각에서 본 민주노조운동의 현재와 방향 (조돈문 가톨릭대 교수)
한국 노사관계와 민주노총의 선택 (노중기 한신대 교수)
한국사회 속에서 민주노총의 역할과 과제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
한국노동운동의 위기와 대안: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신광영 중앙대 교수)

□ 토론
조건준 (민주금속연맹 조직국장)
이성우 (공공연맹 사무처장)
이주호 (보건의료노조 정책실장)
최동식 (인천본부 부본부장)

□ 목차

◇ 민주노총의 위기요인과 혁신방향 _ 이상학 / 1
1. 시작하며
2. 위기는 어디에서 출발하고 있는가?
가) 현장조직력 약화
나) 노동운동의 계급성과 연대성 약화
다) 정규직과 기업중심 노조운동
라) 노동운동의 대응능력 부족
마) 분파주의 경향
3. 위기극복을 위한 혁신방향
가) 관성과 타성으로부터의 단절: 비리척결과 운동원칙의 재정립
나) ‘분파에서 정파로’
다) 현장조직력 강화
라) 산별노조 건설과 미조직노동자 조직화
마) 조직운영의 쇄신
4. 마치며

◇ 노동계급 계급형성 시각에서 본 민주노조운동의 현재와 방향 _ 조돈문 / 37
1. 들어가는 말
2. 민주노총 10년의 의미와 성과
3. 민주노총의 현재적 조건과 미래
1) 개혁적 계급존재양식과 변혁지향성
2) 노동계급 조직적 형식과 계급대표성
3) 노동계급 이데올로기적 형성과 정파조직
4) 기타

◇ 한국 노사관계와 민주노총의 선택 _ 노중기 / 51
1. 머리말
2. 체제변동과 전투적 노조주의
3. 합의주의 노조운동: 10년 경험의 반성
4. 사회운동 노조주의 또는 사회적 조합주의
5. 결론: 민주노조운동의 새로운 모델을 향하여

◇ 한국사회 속에서 민주노총의 역할과 과제 _ 김동춘 / 65
1. 사회경제적 시민권획득, 사회적 교섭의 주체
2. 이익집단보다는 사회적 의제제기, 제도개혁의 주체
3. 기업지배구조 개혁의 주체
4. 노동자계급, 빈곤층, 사회적 약자의 대변자가 되어야
5.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노동운동
6. 마무리

◇ 한국노동운동의 위기와 대안: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_ 신광영 / 71
1. 민주노총의 성과와 한계
2. 민주노총의 두 가지 위기
1) 구조적 위기
2) 국면적 위기
3. 노동계급 정치의 딜레마
4. 결론
수정    삭제          목록
CLOSE
<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