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보도



[논평] 노동자의 불안감은 바로 철학 없는 대통령에서 출발한다.

by 대변인실 posted Mar 21, 2023 Views 369

[논평] 노동자의 불안감은 바로 철학 없는 대통령에서 출발한다.

 

이 땅 노동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첫 번째는 바로 윤석열 정부와 철학 없는 대통령의 존재다. 대통령이 노동자 보호 차원에서 걱정하는 주 60시간 이상 노동은 무리하고 하는데 현행 대한민국의 법은 연장을 포함해 주 52시간으로 상한을 정해놨다. 그렇게 법 좋아하는 대통령의 출발 자체가 글러먹었다.

 

연장 시간 정산을 주간이 아닌 월간, 분기, 반기, 연간으로 환산하면 노동시간 총량이 유지되거나 줄 수는 있어도 고강도의 장시간 압축노동을 피할 수 없다. 여기에 무슨 노동자의 건강권이 보장되는가? 노동자가 무슨 고무줄도 아니고 노동시간을 늘렸다 줄였다 하는 과정에서 깨치는 생체의 리듬은 결국 사고와 사망으로 이어질 것이 뻔한데 한해 500명 이상이 과로사로 죽는 현실을 통해 배우는 것이 정녕 하나도 없다는 말인가?

 

길게 일하고 길게 쉬라는 그 무책임한 말에 기가 차 말이 안 나온다. 연차를 쓰는 것도 눈치를 봐가며 마치 죄를 짓듯 사용하는 현실을 대통령은 정녕 모르는가? 나아가 휴게권 보장이라는 명분에 가린 수당, 임금 삭감에 대해선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쳥년 세대와 미래를 팔아가며 야심 차게 밀어붙이던 노동시간 개악이 벽에 부딪히자 갈팡질팡 이제야 다양한 목소리를 듣겠다고 하는데 그 다양한 목소리에 민주노총의 몫은 있는가? 왜 쉬운 길을 두고 돌아가려 하는가? 평생 주변에서 대통령 귀에 듣기 좋은 말만 골라하고 입에 단 것만 골라 먹여주는 것에 너무 익숙해 비판과 대안에 눈을 감고 귀를 막은 대통령의 남은 임기가 어떠할지 불을 보듯 뻔하다.

 

민주노총은 대통령이 입에 닳도록 얘기하는 글로벌 스탠더드가 무언지 답을 요구한다. 경제 규모에 어울리지 않는 한국의 노동시간과 노동권을 국제기준에 맞도록 바꾸기는커녕 주당 노동시간을 60시간으로 제한한 근로기준법이 제정된 1953년으로, 공장법을 통해 노동자를 보호하겠다는 1850대의 영국으로 되돌리는 퇴행을 규탄한다.

 

민주노총은 윤석열 정부의 노동시간 개악을 저지하기 위해 5월 경고파업과 과로사 조장을 통한 살인죄 예비·음모와 헌법을 훼손하는 불법에 대해 고발을 결정했다. 윤석열 정부가 스스로 되돌릴 생각이 없다면 민주노총이 노동자, 시민의 저항과 투쟁으로 반드시 이를 저지하고 바로잡을 것이다.

 

2023321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지 취재요청서 양식 2020.05.18
  1. [논평] 고용노동부의 이주노동자 기본권보장 역행하는 ‘외국인근로자 숙식비·사업장 변경 관련 실무 TF회의’ 역주행을 우려한다.

    Date2023.03.28
    Read More
  2. [성명] 최종 사법적 판단이 나오기도 전에 민주노총을 엮어 불순한 의도를 관철하려는 국정원을 규탄한다.

    Date2023.03.28
    Read More
  3. [성명] 노조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한 3월 24일 경북지노위 판단에 대한 민주노총 입장

    Date2023.03.27
    Read More
  4. [성명] 자본과 기업의 이익만 대변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철회하라

    Date2023.03.27
    Read More
  5. [보도자료] 문제는 윤석열이다. 민생파탄! 검찰독재! 윤석열 심판! 민주노총 투쟁선포대회

    Date2023.03.27
    Read More
  6. ■ 민주노총 주간 홍보 일정 (3/27 ~ 4/2)

    Date2023.03.25
    Read More
  7. [보도자료] 업무상판정위원회를 말하다

    Date2023.03.24
    Read More
  8. [취재요청] 민생파탄! 검찰독재! 윤석열 심판! 민주노총 투쟁선포대회

    Date2023.03.24
    Read More
  9. [취재요청] “콜센터 노동자와 함께하는 다음 소희 단체 관람”

    Date2023.03.23
    Read More
  10. [취재요청] 업무상판정위원회를 말하다

    Date2023.03.23
    Read More
  11. [논평] 이주노동자의 돌봄노동은 최저임금 100만 원? 불법적 차별 임금 발상을 즉각 중단하라

    Date2023.03.22
    Read More
  12. [성명]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삼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철회하라

    Date2023.03.22
    Read More
  13. [보도자료] 울산시교육감 천창수 후보, 학교부터노동교육운동본부와 정책협약식 가져

    Date2023.03.21
    Read More
  14. [논평] 노동자의 불안감은 바로 철학 없는 대통령에서 출발한다.

    Date2023.03.21
    Read More
  15. [보도자료] 양 노총 이정식 고용노동부장관 등 직권남용 고발 기자회견

    Date2023.03.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74 Next
/ 974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우) 04518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 14층
고유번호 : 107-82-08139
Tel : (02) 2670-9100 Fax : (02) 2635-1134 Email : kctu@nodong.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