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문서자료

[교육담당자매뉴얼7] 학습조직

작성일 2008.04.24 작성자 교육원(준) 조회수 1945
Atachment
첨부파일 다운로드
일반적으로 노동교육활동은 교육시간이 있어야 하고, 강사가 준비되어야 하며, 교육장소도 있어야 하고, 예산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학습조직은 이러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는 사고를 요구합니다. 일하는 공간, 활동하는 공간을 학습의 장으로 조직하는 것입니다.  

노동조합에는 전임자회의, 상집회의, 대의원회의, 현장 부서별 회의 등 매우 많은 모임단위가 있습니다. 이러한 모임에 학습과 연구의 ‘시간’을 배치하는 것은 ‘교육담당자’의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간부들의 경우 변화하고 있는 정세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또 조직적 문제에 대해 그때그때 올바른 대처방안을 내놓기 위해서도, 학습과 연구를 게을리 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일상적인 학습과 연구를 위해 회의와 현장토론 시간을 학습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합시다.  

뿐만 아니라 노동조합 내에는 많은 취미 동아리가 있습니다. 이러한 동아리는 조합원의 특성과 취미 등에 따라 조직됩니다. 낚시, 건강, 볼링을 비롯해서, 사진, 풍물, 노래, 영화 동아리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이러한 동아리에도 학습과 연구는 필요합니다. 사진을 찍는 경우에도, 민중사진과 일반사진이 있을 수 있겠지요. 등산을 하면서도 환경으로 인해 산림이 훼손되는 경우를 보게 됩니다. 이처럼, 취미 활동을 하면서도, 우리의 눈으로 문화현상과 우리사회의 다양한 면을 볼 수 있는 눈을 깨우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학습과 연구의 내용도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교육담당자는 사회에서 접하게 되는 사실과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부단하게 다양한 내용과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번에는 노동조합에서 학습조직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학습동아리와 현장토론의 운영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뉴얼7 - 학습조직

1) 학습동아리
- 학습동아리의 특징
- 학습동아리의 구성방법
- 소모임 운영계획의 수립
- 소모임내 민주주의의 확립
- 소모임 운영상의 유의사항

2) 현장토론
- 현장토론이란  
- 현장토론 사전준비
- 현장토론의 주제
- 현장토론의 운영
- 사회자역할
- 참가자의 역할  


수정    삭제          목록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