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총서 033
산별노조시대, 민주노총의 위상과 역할
연구책임자: 윤진호(인하대 경제학과 교수)
연구진: 임운택(계명대 사회학과 교수), 진숙경 (성균관대 HRD 센터 연구위원), 김미정(민주노총 정책국장), 이주호(보건의료노조 전략기획단장)
Ⅰ. 서론: “제 2의 산별노조운동을 주도하는 민주노총”
Ⅱ. 노동조합 총연맹 조직의 역할과 과제: 이론과 실천
Ⅲ. 제 2의 산별노조운동 실현을 위한 외부 환경적 요인과 내부 조직적 요인
1. 외부 환경적 요인
1) 87년 체제의 위기와 위기극복의 대안으로 산별노조건설운동
2)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와 조직화된 노동운동의 침체
3) 사회운동으로서 노동운동의 대표성 위기
2. 내부 조직적 요인
1) 조직구조를 둘러싼 문제
2) 조직의 기능적 역할을 둘러싼 문제
3) 중앙조직의 효율성 부족
Ⅳ. 총연맹으로서 민주노총의 역할과 과제
1. “진보운동을 주도하는 민주노총”의 대외적 위상 강화
1) 대정부 관계에서 민주노총의 정치적 영향력 확대
2) 대사용자와의 관계에서 민주노총의 역할
3) 민주노총의 정치적 역할: 진보정당과의 공동의제 형성
4) 민중연대의 강화
2. “제2의 산별노조운동‘을 주도하는 민주노총
1) 조직구조를 둘러싼 문제
3. 현장과 소통하는 민주노총
1) 민주노총 조직 내부 실천력 강화와 내부 민주주의의 활성화
2) 중앙 조직의 효율적 기능을 위한 자원의 재배분
3) 중앙조직의 효율성 제고
Ⅴ.요약과 결론78
<보론> 노동조합총연맹의 기능과 구조에 관한 논의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