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제환경 변화와 노동자 임금
1) 2008년 경제 침체 지속
2) 노동소득분배 악화
2. 생산성에 미치지 못하는 임금인상
3. 실질임금 하락과 임금격차 확대
1) 생계비에 못 미치는 임금인상
2) 비정규-정규, 중소영세-대기업 노동자간 임금차별 심각
4. 임금격차 해소와 연대임금 쟁취를 위한 민주노총 2008년 임금 요구
1) 임금격차 해소와 생활임금 쟁취
(1) 법정 최저임금 시급 4,760원, 한달 994,840원 요구
(2) 산업별 최저임금협약 체결
(3) 지자체 교섭 등을 통한 지역내 저임금 해소
(4) 원․하청 불공정거래 개선을 통한 임금격차 축소
2) 연대임금 쟁취
(1)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 비정규직 242,000원, 20.2% 쟁취
(2) 표준생계비 확보를 위해 정규직은 8.0% 인상 요구
3) 임금체계 유연화 저지와 산업별 임금체계 모색
(1) 기업별 직무성과급 도입 반대와 산업별 임금체계 형성을 위한 준비 돌입
(2) 임금피크제 도입 저지와 정년 연장
1) 2008년 경제 침체 지속
2) 노동소득분배 악화
2. 생산성에 미치지 못하는 임금인상
3. 실질임금 하락과 임금격차 확대
1) 생계비에 못 미치는 임금인상
2) 비정규-정규, 중소영세-대기업 노동자간 임금차별 심각
4. 임금격차 해소와 연대임금 쟁취를 위한 민주노총 2008년 임금 요구
1) 임금격차 해소와 생활임금 쟁취
(1) 법정 최저임금 시급 4,760원, 한달 994,840원 요구
(2) 산업별 최저임금협약 체결
(3) 지자체 교섭 등을 통한 지역내 저임금 해소
(4) 원․하청 불공정거래 개선을 통한 임금격차 축소
2) 연대임금 쟁취
(1) 임금격차 해소를 위해 동일가치노동-동일임금, 비정규직 242,000원, 20.2% 쟁취
(2) 표준생계비 확보를 위해 정규직은 8.0% 인상 요구
3) 임금체계 유연화 저지와 산업별 임금체계 모색
(1) 기업별 직무성과급 도입 반대와 산업별 임금체계 형성을 위한 준비 돌입
(2) 임금피크제 도입 저지와 정년 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