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문서자료

민중경선제 관련 기사

작성일 2007.06.08 작성자 정치위원회 조회수 1568
전통적 대결구도 벗어난 '민중참여경선' 논쟁
NL-PD식 논쟁 벗어나...16일 중앙위서 최종 결론

문형구 기자    




    
  

민주노동당의 대선후보 선출권한을 개방하는 문제가 진보진영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가운데, 관련 인사들과 대중단체들이 조심스럽게 그러나 또렷하게 목소리를 드러내고 있다. 또 시간이 지날수록 민중참여경선은 정파구도를 벗어나 새로운 논쟁구도를 만들어가고 있다.
  
  최근 강병기 최고위원(농민할당)은 민주노동당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민중참여경선제의 훌륭한 취지에도 불구하고 이 안건 결정을 위한 임시대대 소집은 반대한다"면서 "(통과 가능성이)거의 없고 후유증이 너무 클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최고위원으로서 참으로 깊은 자괴감을 느끼고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박경순 진보운동연구소 소장도 <레디앙>에 기고한 글을 통해 "민중참여 경선제는 민주노동당의 정체성에도 부합되고, 민주노동당을 강화 발전시키고, 대선 투쟁을 승리로 이끌어 나가는 데서 매우 유리하고 좋은 제도"라면서도 "당내 특정 정파와 정치세력들이 격렬히 반대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민중참여경선제의 취지는 정당하다 하더라도 추진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정파구도 넘어선 민중참여경선 논란
  
  강병기 최고위원과 박경순 소장은 둘 다 자민통 계열의 유력인사로 지난 3월 당대회에서의 '개방형 경선'을 포함해 민중참여경선제를 원칙적으로 찬성해왔다.
  
  반면 개방형 경선에 반대했던 그룹 내에서도, 민중참여경선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거나 찬성으로 돌아서는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이는 당내 예비경선이 조용하게 진행되는데 대한 우려와 선거비용, TV토론 자격 등 민주노동당이 맞딱뜨리게 된 현실적 고민 때문으로 보인다.
  
  구 '현장파' 계열로 분류되는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나 당내에서 좌파블록을 형성해 온 김승호 사이버노동대학 이사장, 이해관 전KT노조 부위원장(민주노동자연대) 등이 민중참여경선제를 적극 주장하고 있는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김태곤 현대차지부 조직강화실장은 "각 사업부별 1명과 민주노동당 소속 시구의원이 참석한 정치위에서 '하자, 말자'보다는 노동자 계급투표를 조직하기 위해서 조합원들이 어떠한 형태로든 직접적인 정치활동을 보장해야 한다는 입장이 주를 이뤘다"며 "실제 현장은 괴리감을 갖는데 깃발만 꽂으면 된다는 식은 더 이상 안 통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이어 전농도 민중참여경선으로 '가닥'
  
  대중조직들의 경우 민중참여경선제 추진의 목소리가 점차 힘을 얻어가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당 대선후보 선출에 대한 대중조직의 참여를 추진해 온 전국농민회는, 민주노동당과의 관계문제를 고려해 3.11 당대회 이후 입장표명을 극도로 자제해왔다.
  
  이에 6일 전농 전북도연맹은 "전농의 간부 모두가 민중참여경선제의 취지에는 찬성하고 있다"고 전제한 뒤 "그렇다고 하면 전농은 민중참여경선제의 실현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당을 적극 설득하고 민주노총과 손을 굳게 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전농은 오는 12일 중앙위원회를 통해 대선방침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민주노총이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에서, 전농이 이날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민주노동당의 이후 행보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미 중앙위원 연서명을 통한 안건발의가 이루어진 가운데, 민주노동당은 오는 16일로 예정된 제3차 중앙위원회에서 민중참여경선제와 관련한 논란을 매듭짓게 된다.


2007년06월07일 ⓒ민중의소리


수정    삭제          목록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