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 노동대학 제2강의'식민지 시대, 민족해방운동속에서 노동운동 태동하다'(강사: 역사학 연구소 최규진 연구위원) 교안과 토론안내입니다.
<목차>
1. 1910년대 노동자 상태와 노동운동
1) 1910년대 민족해방운동과 노동운동
2) 1910년 노동자 상태와 파업투쟁
3) 초기 노동조합
2. 3.1 민족해방운동과 노동자투쟁
1) 민족해방운동의 분수령, 3.1운동
2) 노동자투쟁
3. 1920년대, 사회주의와 노동운동의 결합
1) 전국적 노동조직 수립운동과 노농총동맹
2) 사회주의 보급과 조선노동당
3) 1920년대 노동자 파업투쟁
4. 1930년대 당 재건운동과 혁명적 노동조합운동
1) 세계공황과 일본제국주의 지배정책
2) 당재건운동과 혁명적 노조운동이 나타난 배경
3) 당재건 운동
4) 혁명적 노조운동
5. 1930년대 후반 항일무장투쟁의 발전과 노동운동
1) 재만 조선인 유격대의 형성과 조국광복회
2) 조선의용군
3) 한국광복군4) 1930년대 후반부터 1945면까지의 노동운동
<목차>
1. 1910년대 노동자 상태와 노동운동
1) 1910년대 민족해방운동과 노동운동
2) 1910년 노동자 상태와 파업투쟁
3) 초기 노동조합
2. 3.1 민족해방운동과 노동자투쟁
1) 민족해방운동의 분수령, 3.1운동
2) 노동자투쟁
3. 1920년대, 사회주의와 노동운동의 결합
1) 전국적 노동조직 수립운동과 노농총동맹
2) 사회주의 보급과 조선노동당
3) 1920년대 노동자 파업투쟁
4. 1930년대 당 재건운동과 혁명적 노동조합운동
1) 세계공황과 일본제국주의 지배정책
2) 당재건운동과 혁명적 노조운동이 나타난 배경
3) 당재건 운동
4) 혁명적 노조운동
5. 1930년대 후반 항일무장투쟁의 발전과 노동운동
1) 재만 조선인 유격대의 형성과 조국광복회
2) 조선의용군
3) 한국광복군4) 1930년대 후반부터 1945면까지의 노동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