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부총재 회의 규탄 기자회견

작성일 2010.09.01 작성자 대변인 조회수 4291

[보도자료]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부총재 회의 규탄 기자회견

 

□ 일시 : 2010년 9월 3일(금) 오전 11시 

□ 장소 : 정부종합청사 앞(광화문) 

□ 주최 : (가칭)G20 공동대응 준비위원회 (peoplesg20action.Seoul@gmail.com) 

□ 취지
- 올 11월 11-12일에 열리는 G20 서울 정상회의에 앞서 9월 4-5일에 G20 재무차관․중앙은행 부총재 회의가 광주에서 열립니다. G20 정상회의는 2008년에 일어난 금융위기의 해결사를 자처하고 있지만, 투기자에게 최소한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금융규제방안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투기자의 위험을 국가가 떠안으면서 발생한 재정위기를 긴축재정으로 해결하고자 하면서 평범한 시민들에게 위기 비용을 전가하고 있습니다.  

- 이번에 열리는 G20 재무차관․중앙은행 부총재회의는 11월 정상회의 안건을 사전조율하기 위한 자리이며,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보다는 민중에게 위기를 전가하려는 방안이 토론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G20 공동대응 준비위원회는 우리의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 회견 순서

- 참석자 소개

- 광주 G20 재무차관회의 비판 발언

- 민주주의․인권 탄압 규탄 발언

- 금융자본 통제 촉구 발언

- 기자회견문 낭독

- 퍼포먼스

 

※ 취재문의 : 민주노총 정책국장 이창근 (010-9443-9234)

 

(가칭)G20 공동대응 준비위원회 소개 

- G20 공동대응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원회)는 지난 6월 18일(금) 노동․민중․시민사회 단체들이 11월 11일 ∼12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공동 대응하기 위하여 구성됨.  

- 준비위원회에는 노동자, 농민, 빈민 대중조직과 진보적인 시민사회단체들이 참여하고 있음.(아래 표 참조)  

- 준비위원회는 9월 15일(수) 본 조직으로 새롭게 출범할 계획임. 

참가 단체(가나다 순, 2010.9.3 현재)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금융규제 강화와 투기자본 과세를 위한 시민사회네트워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상상연구소,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세상연구소,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투기자본감시센터), 나눔문화, 노동사회과학연구소, 노동자전선, 노점노동연대(준), 녹색연합, 다함께, 대학생대안포럼, 민주노동당, 민주노점상전국연합,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반전평화연대, 빈곤사회연대, 사회당, 사회주의노동자정당건설공동실천위원회, 사회진보연대,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에너지정의행동, 에너지정치센터,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윤보다인간을, 이주노동자인권지킴이,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빈민연합, 전국여성농민회총연맹, 전국학생행진, 지구촌빈곤퇴치시민네트워크 한국위원회(GCAP-Korea), 진보신당, 진보전략회의, 참여연대,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진보연대, 한국투명성기구, 학술단체협의회, 환경정의

 

- 준비위원회의 G20정상회의 대응 기조는 아래와 같음.

▽ 위기를 개도국과 민중에게 전가하는 G20 규탄과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의 구조적 문제점 비판

▽ G20을 빌미로 민주주의와 인권․노동권 탄압하고, 국제적인 기준과 약속을 무시하는 이명박 정부 규탄

▽ G20에 대한 노동․민중․시민사회진영의 대안적 목소리를 조직하며, 정부․자본과의 관계에 있어서 정치적․조직적․재정적 독자성 견지

▽ 금융통제․노동친화·환경친화적인 대안 경제 건설을 촉구하는 국내외 노동조합 및 사회운동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국제적인 차원에서 반신자유주의 세계화 운동의 역량강화에 복무

 

□ 대응 의제 

▽ 좋은 일자리 ▽ 노동기본권 ▽ 금융통제와 투기자본 과세 ▽ 환경과 기후변화 ▽ 자유무역협정과 초국적기업 비판 ▽ 식량위기 ▽ 민주주의와 인권 ▽ 빈곤과 개발 ▽ 강요된 이주 ▽ 반전 평화 ▽ 공공서비스 ▽ 지적재산권 ▽ 반핵

 

2010. 9. 1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