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기자회견]<사람이 우선이다! G20 대응 민중행동> 출범, 투쟁계획 발표

작성일 2010.09.13 작성자 대변인 조회수 4724

[보도자료]

<사람이 우선이다! G20 대응 민중행동> 출범 기자회견
- 출범선엄문 및 대응계획 발표 -

 

□ 일시
2010년 9월 15일(수) 오전 10시
 

□ 장소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2층(정동)

 

□ 취지
2개월 앞으로 다가온 G20 서울 정상회의(11.11-12)에 대한 노동·민중·시민사회진영의 공동대응기구인 <사람이 우선이다! G20대응 민중행동>(peoplesg20action.Seoul@gmail.com)이 출범 기자회견을 갖고자 합니다. G20대응 민중행동은 경제위기를 해결하는 데 실패하고 있는 G20 정상회의에 대해 공동 대응하고, G20을 빌미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탄압하는 MB 정부를 규탄하는 활동을 전개할 것입니다.

 

□ 기자회견 순서 / 오성규(공동운영위원장,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

○ 참석자 소개

○ 모두 발언 -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

○ G20정상회의 비판 - 정용건 금융규제강화와투기자본과세시민사회네트워크 공동대표

○ G20대응민중행동 향후 계획 발표- 이강실 한국진보연대 상임대표

○ 퍼포먼스

○ 출범선언문 공동낭독 - 참여연대/노동전선/녹색연합/사회진보연대/다함께 등

 

※ 취재문의 : 이창근(민주노총 정책국장) (010-9443-9234)

※ 아래참고 : 「사람이 우선이다 G20대응 민중행동」 소개

※ 기자여러분의 적극적인 취재 부탁드립니다.

 

2010. 9. 13.

<참고자료> 사람이 우선이다! G20대응 민중행동 소개

- “사람이 우선이다! G20대응 민중행동”은 11월 11일 ∼12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 공동 대응하기 위하여 노동·민중·시민사회단체들이 공동으로 구성한 기구임.  

- G20대응 민중행동은 노동자, 농민, 빈민 등 대중조직과 진보적인 시민사회단체들이 참여하고 있음.(아래 표 참조) 

참가 단체(가나다 순, 2010.9.13 현재)  

21세기코리아연구소, 건강권실현을위한보건의료단체연합, 금융규제 강화와 투기자본 과세를 위한 시민사회네트워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상상연구소,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새세상연구소, 전국사무금융노동조합연맹, 투기자본감시센터), 기본소득네트워크, 나눔문화, 노동사회과학연구소, 노동자전선, 노점노동연대(준), 녹색연합, 다함께, 대학생대안포럼, 대학생사람연대, 민주노동당, 민주노점상전국연합,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반전평화연대, 빈곤사회연대, 사회당, 사회주의노동자정당건설공동실천위원회, 사회진보연대,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 에너지시민회의, 에너지정의행동, 에너지정치센터, 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 이윤보다인간을, 이주노동자인권지킴이, 전국농민회총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빈민연합,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전국여성연대, 전국학생행진, 지구촌빈곤퇴치시민네트워크 한국위원회(GCAP-Korea), 진보신당, 진보전략회의, 참여연대, 투기자본감시센터,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진보연대, 한국투명성기구, 학술단체협의회, 환경연대회의,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G20반대대학생운동본부

- G20대응 민중행동의 대응 기조는 아래와 같음.

▽ 위기를 개도국과 민중에게 전가하는 G20 규탄과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의 구조적 문제점 비판

▽ G20을 빌미로 민주주의와 인권․노동권 탄압하고, 국제적인 기준과 약속을 무시하는 이명박 정부 규탄

▽ G20에 대한 노동․민중․시민사회진영의 대안적 목소리를 조직하며, 정부․자본과의 관계에 있어서 정치적․조직적․재정적 독자성 견지

▽ 금융통제․노동친화·환경친화적인 대안 경제 건설을 촉구하는 국내외 노동조합 및 사회운동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국제적인 차원에서 반신자유주의 세계화 운동의 역량강화에 복무

□ 대응 의제 

▽ 좋은 일자리 ▽ 노동기본권 ▽ 금융통제와 투기자본 과세 ▽ 환경과 기후변화 ▽ 자유무역협정과 초국적기업 비판 ▽ 식량위기 ▽ 민주주의와 인권 ▽ 빈곤과 개발 ▽ 강요된 이주 ▽ 반전 평화 ▽ 공공서비스 ▽ 지적재산권 ▽ 반핵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