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취재요청]유연근무제 진단 및 대응방향 토론회

작성일 2010.10.22 작성자 대변인 조회수 2848

[취재요청]

유연근무제 진단 및 대응방향 토론회 

 

□ 일시 : 2010년 10월 25일(월) 14:00~17:00

 

□ 장소 : 국회의원회관 125호

 

□ 주최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공공운수노조(준)

 

□ 주관 : 홍희덕 의원실, 유원일 의원실, 조승수 의원실

 

□ 취지

- 연초에 여성부가 발표한 “퍼플잡”으로 시작된 유연근무제는 행안부, 노동부, 국가고용전략회의를 단숨에 거치며 급속히 추진되고 있는 상황. 정부는 250여개가 넘는 지자체 중 단 아홉 곳에 대한 2개월간의 시범실시만으로 객관적인 평가와 준비절차를 생략한 채 중앙행정기관은 물론 200개가 넘는 전 지방자치단체에 전면 실시함. 

- 유연근무제는 2010년 MB정부의 핵심고용정책이며 정부가 공직사회를 기본으로 전 공공부문과 민간으로 확산하겠다고 선언한 만큼 전체 노동시장의 고용 조건 및 형태, 임금 등에 일대 파장이 예고되는 제도임을 감안한다면 이 제도가 얼마나 졸속적으로 시행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음. 

- 이번 토론회는 이런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고 정책입안과 시행과정, 고용형태, 임금 등 고용조건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하여 정부가 추진 중인 유연근무제, 특히 단시간근무제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환기시키고 대책을 마련하고자 함. 산업노동정책연구소 박재범 연구원의 발제를 통해 정부의 유연근무제 도입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이후 정부, 학계, 여성단체, 정당, 노동계 등 각계의 다양한 생각과 입장 통해 대안을 모색한다.

 

□ 토론회 구성 

○ 발제 : 유연근무제 도입현황 및 문제점 / 박재범 산업노동정책연구소 연구원 

○ 토론자

- 은수미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 김인숙 한국여성민우회 대표

- 이영순 민주노동당 여성위원장

- 진보신당 부대표

- 박주영철폐연대 법률위원장

- 행정안전부 공효식과장

 

※ 취재문의

최성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여성담당(010-7203-0988),

신현정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여성담당(010-6546-4878)

 

2010. 10. 22.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