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기자회견문]정리해고 철회 및 정리해고 희생자 추모위원회 발족

작성일 2011.03.16 작성자 대변인 조회수 2827

[기자회견문]

정리해고 철회 및 정리해고 희생자 추모위원회 발족
- 부실경영 떠넘기기 정리해고제도 개선해야 -
- 쌍용차 복직약속 이행하고 한진중공업, 대우차판매 정리해고 철회하라 -

 

 

오늘 우리는 ‘정리해고 철회 및 정리해고 희생자 범국민추모위원회(이하 정리해고추모위원회)’를 공식 발족합니다. 각계각층 노동 및 시민사회단체들이 망라된 정리해고추모위원회는 2009년 쌍용자동차 정리해고에 따른 노동자들의 잇따른 죽음에 대해 우리 사회 전체가 애도하고 성찰하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최근 한진중공업과 대우자동차판매 등에서 강행된 정리해고를 철회할 것을 촉구하며, 부실경영의 책임을 떠넘기는 정리해고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책을 강력히 촉구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정리해고추모위원회는 오는 25일 쌍용차 정리해고 희생자를 위한 범국민 추모제를 개최할 것이며, 그에 앞서 다음과 같은 입장을 밝힙니다.  

우선, 우리는 쌍용자동차가 복직약속을 즉각 이행할 것을 촉구합니다. 지난 2009년 8월 6일 쌍용차는 무급휴직자를 1년 뒤 복귀시키겠다고 노조와 약속했습니다. 또한 회사는 경영상태가 호전돼 신규 인력이 필요할 경우에도 무급휴직자와 희망퇴직자들을 우선 복귀 또는 채용키로 약속했습니다. 현재 무급휴직자와 희망퇴직자만 2천 4백 여 명입니다. 그리고 쌍용자동차는 지난 14일 마침내 법정관리를 벗어나고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제 회사는 노동자와의 약속을 지켜야 할 때입니다. 회사는 최소한 약속이행을 위한 대화에라도 당장 나서야 합니다. 이 길만이 동료의 죽음을 지켜봐 온 노동자들에게 희망을 주는 길이며, 지난 2년 동안 노사가 겪었던 엄청난 갈등과 고통의 원인을 해결하는 길입니다.  

노동자는 물론 지역사회와 정치권의 우려 속에 강행된 한진중공업과 대우자동차 판매의 정리해고도 철회돼야 합니다. 한진중공업은 2007년 “해외공장이 운영되는 한 조합원 정리해고 등 단체협약 상 정년을 보장하지 못할 행위를 하지 않는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런데 회사는 그 약속을 어기고, 필리핀 조선소에서만 수주물량을 받더니 결국 국내 노동자들만 대량으로 해고한 것입니다. 이는 한나라당 김형오 국회의원조차 “구조조정 이유로 내세우는 회사경쟁력 저하의 원인은 경영부실이며 그 책임은 경영진에게 있다”고 할 정도로 부실경영의 책임을 노동자에게 떠넘긴 경우입니다. 심지어 정리해고 와중에도 회사 경영진은 2억 원이 넘는 연봉과 1백74억 원에 달하는 주식배당을 챙겼습니다. 이런 정리해고는 즉각 중단돼야 마땅합니다.  

지난해 4월부터 워크아웃 상태인 대우자동차판매는 무능경영의 대표적 사례입니다. 회사는 주력사업인 자동차판매를 등한시하고 건설업에 관여하는 등 부실‧방만 경영을 일삼았으며, 이에 대해 노조는 수차례 그 위험을 경고하고 경영진의 무리수를 지적해왔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노동자들의 권고를 무시했고, 끝내 정리해고로서 부실경영의 책임을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기에 이른 것입니다. 노동자들은 IMF, 대우그룹해체, 대우차부도사태 등 어려운 고비마다 행해진 고통전가를 견뎌왔습니다. 그리고 열심히 일했습니다. 그 결과 회사는 최근까지 흑자를 달성해왔습니다. 그러나 더 이상의 책임전가는 안 됩니다. 그 책임은 무분별한 연봉인상 등 언제나 그들만의 잔치를 벌여 온 경영진이 져야 합니다. 부실경영의 책임을 노동자만 떠 앉는 정리해고는 즉각 중단돼야 합니다.  

정리해고가 살인과 다름없음은 곳곳에서 입증되고 있습니다. 정리해고 현재 경영진의 무책임과 무능함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제도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리해고추모위원회는 정리해고 문제에 대한 법제도 개선에 나설 것을 정부에 촉구합니다. 아울러 쌍용자동차의 약속 불이행과 한진중공업 및 대우자동차판매의 대량해고 강행에 대해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을 거듭 촉구합니다. 죽음을 부르는 해고 이제는 끝내야합니다.

 

2011. 3. 16.
정리해고 철회 및 정리해고 희생자 범국민 추모위원회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