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보도자료]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 ‘지역별 임금노동자 규모와 노동조건 변화: 5대 산업과 청년․노령층을 중심으로 이슈페이퍼 발행’

작성일 2023.04.13 작성자 대변인실 조회수 347

지역별 임금노동자 규모와 노동조건 변화: 5대 산업과 청년노령층을 중심으로

 

 

민주노동연구원은 통계청의 2012, 2017, 2022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A)를 분석하여 광역시도별 5대 산업(제조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도소매업, 건설업, 교육서비스업), 34세 이하와 65세 이상 노동자 규모 변화와 월평균임금, 노동시간, 근속연수,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 분석 결과를 이슈페이퍼로 발행했다. 이 보고서는 10년 전, 5년 전 임금노동자 규모와 노동조건과 2022년 현황을 비교함으로써 지역별 위기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광역시도별 임금노동자 규모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2022년 상반기, 임금노동자가 많은 지역 순서는 경기(5,590천명), 서울(4,940천명), 경남(1,246천명), 부산(1,226천명), 인천(1,134천명), 경북(1,039천명), 대구(885천명), 충남(876천명), 충북(674천명), 전남(661천명), 전북(641천명), 대전(591천명), 강원(589천명), 광주(523천명), 울산(489천명), 제주(254천명), 세종(147천명)이다. 둘째, 수도권 사업체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2022년에 11,664천명(53.4%)이며, 10년 전인 2012년보다 2,389천명(25.8%), 5년 전인 2017년보다 1,243천명(11.9%) 늘어나면서 집중된 결과로 보인다. 셋째, 대한민국 제조업 벨트인 부산ㆍ울산ㆍ경남 노동자는 2022년에 2,961천명(13.8%)이며, 10년 전보다 252천명(9.3%), 5년 전보다 15천명(0.5%) 증가에 그쳤다. 마지막으로, 임금노동자가 10년 전보다 감소한 지역은 없으나, 5년 전보다 감소한 지역은 부산(33천명, -2.6%)과 제주(3천명, -1.0%) 두 곳이다.

 

 

광역시도별 임금노동자 규모 변화를 5대 산업과 34세 이하 청년층과 65세 이상 노령층 노동자 증감 현황을 동시에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년 상반기, 임금노동자 규모와 비중이 큰 5대 산업은 제조업 4,052천명(18.8%),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2,621천명(12.2%), 도소매업 2,146천명(10.0%), 건설업 1,706천명(7.9%), 교육서비스업 1,623천명(7.5%)이다. 둘째, 지난 10년간 모든 지역에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과 65세 이상 노동자가 증가하였으며 앞으로 인구 초고령화와 산업 변화에 따른 지역 편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10년 전보다 5대 산업과 34세 이하 청년이 모두 늘어난 지역은 경기, 세종 단 두 곳이고, 5대 산업이 늘었음에도 청년이 감소한 지역은 인천(-69천명, -17.8%), 전북(-30천명, -15.2%), 제주(-5천명, -6.5%)로 나타났다. 넷째, 10년 사이에 전통적으로 제조업이 강한 경남은 5대 산업 중 제조업(-15천명, -3.8%)이 감소하였다. 다섯째, 10년 전보다 5대 산업 중에서 제조업과 도소매업이 동시에 감소한 지역은 서울, 대구, 대전, 울산이다. 여섯째, 광주와 전남은 10년 전보다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이 감소하였다. 여섯째, 경북은 10년 전보다 임금노동자가 감소한 산업이 도소매업(-8천명, -10.5%)과 건설업(-13천명, -15.7%)이다. 마지막으로, 부산은 17개 광역시도 중에서 5대 산업 중에 제조업(-52천명, -23.1%), 도소매업(-9천명, -6.2%), 교육서비스업(-4천명, -4.9%)이 감소한 유일한 지역이다. 고용 창출 규모가 큰 제조업과 도소매업 감소는 지역의 주력 산업 변화와 고용 위기의 징후로 보이며, 특히 교육서비스업과 청년 감소가 동시에 나타나는 지역은 노동조합이 지역사회의 초고령화에 따른 대응 전략을 시급하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1> 2012~22년 광역시도별 5대 산업과 청년-노령층 임금노동자 규모 변화(단위 : 천명, %)

 

 

제조업

보건사회복지

도소매업

건설업

교육서비스업

34세 이하

65세 이상

천명

%

천명

%

천명

%

천명

%

천명

%

천명

%

천명

%

전국

546

15.6

1,334

103.7

38

1.8

368

27.5

217

15.4

-1,594

-11.7

3,245

57.0

경기

520

58.6

319

129.8

124

28.8

181

58.9

68

21.4

34

2.1

361

136.3

세종

11

89.7

14

448.4

5

214.7

4

129.7

16

701.0

29

184.5

11

204.1

충북

53

37.3

47

106.7

-1

-3.2

15

36.0

5

12.2

19

9.5

53

67.2

인천

5

2.0

77

107.0

8

9.2

40

60.0

5

8.8

-69

-17.8

64

89.1

전북

6

6.2

46

65.7

1

2.7

16

35.6

5

10.4

-30

-15.2

85

74.3

제주

5

94.5

16

91.2

7

29.9

6

25.0

6

36.9

-5

-6.5

21

58.7

충남

33

14.9

55

103.3

-4

-6.4

6

10.7

25

48.1

-48

-14.6

75

59.1

강원

7

18.7

66

149.1

6

15.4

24

68.9

-0

-1.0

-30

-17.4

79

100.7

경남

-15

-3.8

89

117.2

13

15.5

10

12.9

20

27.3

-102

-23.6

113

73.5

서울

-64

-16.3

181

65.4

-67

-9.3

8

2.8

32

9.2

-290

-13.4

154

55.9

대구

-1

-0.7

75

117.6

-25

-20.4

13

25.1

5

6.6

-89

-25.3

46

62.7

울산

-13

-7.5

28

103.0

-3

-7.5

8

22.2

13

50.9

-47

-27.5

26

117.5

대전

-2

-3.8

41

93.3

-4

-7.2

6

16.4

18

39.8

-17

-7.5

31

81.3

경북

23

7.7

90

151.3

-8

-10.5

-13

-15.7

7

9.9

-85

-24.1

89

43.7

광주

6

7.2

37

81.3

-5

-8.2

8

18.6

-2

-5.3

-62

-27.8

39

119.2

전남

24

31.8

52

101.1

-0

-0.8

4

7.0

-1

-1.1

-30

-15.4

61

34.9

부산

-52

-23.1

102

109.2

-9

-6.2

33

40.1

-4

-4.9

-136

-27.3

119

133.1

자료 :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A) 원자료 각 연도.

 

 

2022년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를 분석하여, 월평균임금,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 노동시간, 근속연수를 통해 지역별 노동조건을 검토하였다.

첫째, 2022년 상반기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원자료 분석 결과, 전체 노동자 평균임금은 286만원, 최저임금 미달률15.5%, 주간 노동시간은 38.5시간, 근속연수는 6.0년이다.

둘쨰, 울산이 2012년에 252만원, 2017년에 299만원으로 최고임금 지역이었으나, 2022년에는 세종(329만원)으로 변화했고, 월평균임금이 가장 낮은 지역은 10년 전 제주(178만원), 5년 전 제주(208만원)에서 2022년에 강원(246만원)으로 변화했다. 10년 전보다 평균임금 인상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129만원),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48만원)이고, 5년 전보다 평균임금 인상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54만원)이고,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2만원)이다.

둘째, 2012-22년 청년이 늘어난 충북, 세종, 경기 세 지역은 모두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이 전국 평균(15.5%)보다 낮다. 구체적으로,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2012년에 대구(14.7%), 2017년에 강원(19.7%), 2022년에 제주(21.8%)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2012년 울산(7.1%), 2017년 울산(8.8%), 2022년 세종(11.1%)으로 변화했다. 10년 전보다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이 감소한 지역은 세종(-0.4%p)이 유일하며 전남(9.9%p), 강원(9.5%p), 전북(9.4%p)9%p 이상 증가했고, 5년 전보다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이 가장 감소한 지역은 경남(-2.7%p)이지만 세종(3.2%p), 대구(2.9%p), 부산(2.5%p), 경기(1.6%p), 충북(1.5%p) 10개 지역에서 증가했다.

셋째, 주간 노동시간이 가장 긴 지역이 2012년 울산(45.5시간), 2017년 세종(42.7시간), 2022년 충남(39.7시간)으로 변화했고, 가장 짧은 지역은 2012년에 강원(42.6시간), 2017년에도 강원(40.2시간), 2022년에도 강원(36.0시간)이다. 10년 전보다 노동시간이 가장 줄어든 지역은 울산(-7.0시간)이고, 가장 덜 줄어든 지역은 세종(-4.3시간), 5년 전보다 노동시간이 가장 줄어든 지역은 전북(-5.0시간)이고, 가장 덜 줄어든 지역은 충남(-2.2시간)이다.

넷째, 근속연수가 가장 긴 지역이 2012년 울산(6.9), 2017년도 울산(7.1), 2022년에도 울산(7.3)이며, 가장 짧은 지역은 2012년에 경기(4.7)에서 2017년 인천(5.2), 2022년 인천(5.4)이다. 10년 전보다 근속연수가 가장 늘어난 지역은 세종(1.7)이고, 가장 늘어나지 않은 지역은 전북(0.0), 5년 전보다 근속연수가 가장 늘어난 지역은 제주(1.0)이고, 유일하게 줄어든 지역은 전북(-0.3)이다.

마지막으로, 월평균임금,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 노동시간, 근속연수를 통해 지역별 노동조건 변화를 분석하였다. 10년 전보다 평균임금 인상액(75만원), 노동시간이(-5.4시간), 근속연수(0.7)보다 미달하고 최저임금 미달자 비율만 전국 평균(6.1%p)보다 더 늘어난 지역은 광주가 유일하며, 임금-근속-최저임금 미달률이 전국수준보다 개선되지 않았으나 노동시간은 더 줄어든 지역은 부산, 강원, 전북, 전남 네 곳이고, 임금-근속-최저임금 미달률이 전국수준보다 개선되었음에도 노동시간은 덜 줄어든 지역이 서울, 대전, 충남, 세종, 경기로 나타났다. 10년 전보다 대구는 임금-최저임금 미달률-노동시간-근속이 모두 전국평균 이상 개선되었으며, 경남은 근속연수만 더 늘어났고, 충북은 최저임금 미달률, 울산은 노동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미달률, 인천은 임금인상과 노동시간 단축 수준이 전국평균보다 개선됐다.

 

 

<-2> 2012~22년 광역시도별 임금노동자 노동조건 변화

 

 

2022년 현황

2012-22년 변화

월평균임금

(만원)

노동시간

(시간)

근속연수

()

최저임금

미달률(%)

임금인상

(만원)

노동시간

단축(시간)

근속 연수

증가()

최저임금

미달률 증감(%p)

전국

286

38.5

6.0

15.5

75

-5.4

0.7

6.1

대구

260

37.6

6.1

18.0

75

-6.0

1.2

3.3

세종

329

39.3

6.9

11.1

129

-4.3

1.7

-0.4

서울

323

38.9

5.8

12.1

89

-4.9

0.7

4.9

대전

290

37.9

6.3

15.0

81

-5.0

0.8

4.7

충남

290

39.7

6.7

13.4

83

-4.9

1.3

4.7

경기

289

39.0

5.6

13.8

79

-5.1

0.9

6.0

인천

266

38.5

5.4

18.1

75

-5.8

0.6

7.5

경북

267

38.3

6.9

19.4

69

-5.9

1.1

6.7

울산

301

38.5

7.3

11.2

48

-7.0

0.4

4.1

제주

253

38.3

6.6

21.8

76

-4.8

1.4

7.3

경남

264

38.8

6.4

17.4

54

-5.3

0.7

8.6

전남

263

36.7

6.6

21.5

59

-6.2

0.4

9.9

부산

253

37.3

5.7

20.7

62

-5.9

0.6

7.8

전북

248

36.3

6.0

20.0

56

-7.0

0.0

9.4

강원

246

36.0

6.4

21.5

55

-6.6

0.1

9.5

충북

273

38.7

5.9

14.1

71

-5.1

0.0

5.6

광주

260

37.8

5.9

19.5

72

-5.2

0.4

7.3

: 음영 처리한 셀은 2022년 노동조건이 전국평균에 미달하고, 2012~22년 사이에 임금인상과 근속연수가 전국평균보다 증가하지 않았거나 노동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미달률이 전국평균보다 높은 사례임.

자료 :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A) 원자료 각 연도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