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서울 소재 모 공기업에 근무중인 운영직 직원입니다.
우리 공사는 전 박원순지사의 지시로 협력업체인 미화/경비/조리 등등 운영을 맡았던 용역직원들을 정직원으로 승격하는 데 앞장섰던 곳입니다.
정규직으로 전환이 되면서 상여금이나 복지포인트 같은 근무복지가 좋아진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수준이 일반직에 비해 1/3의 수준이었기에 노조를 통해 꾸준히 상향 시켜 주길 건의하였습니다.
2021년 초기 일반직 400% 대비 100%에 불과했던 상여금이 250%로 상향 조정 되었습니다. 노조위원장과 사무국장의 힘이라 여겼고 참 좋아했죠.
얼마 전, 내년 부로 퇴직하시는 노조위원장 자리를 놓고 선거가 이뤄 졌습니다.
기존 사무국장과 다른 후보가 경선해 기존 분이 위원장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현 사무국장이 차기 위원장으로 당선되고 난 후, 노조 대의원 회의에서 운영직 상여금을 조정하자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연말까지 300%까지 상향하겠다는 사무국장의 말과 달리 나머지 50% 상향의 건은 노조원 전체 투표로 결정하자는 거죠.
일반직과 운영직의 인원 차이는 1/5 가량. 일반직은 자기들의 임금이 깍이니 절대 통과되지 않을, 투표 하나마나한 상황입니다.
현재 운영직 조합원들은 노조 탈퇴를 고민중입니다. 하지만 고작 전 직원 20프로에 불과한 인원들이 탈퇴한들 변하는 건 없을 거라 생각됩니다.
기존의 300% 약속을 번복하고 운영직 탄압과 일반직과의 분열을 조장하는 사무국장을 탄핵할 수 있있을까요?
그리고 기존 노조를 탈퇴해 운영직만의 노조를 따로 설립하는 것도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