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성명] 거제시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불허 철회하라!

작성일 2023.12.11 작성자 대변인실 조회수 589

[성명] 거제시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불허 철회하라!

 

경남 거제에서 일제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일제강제징용 노동자상 거제건립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지난 5월부터 장승포동 수변공원에 노동자상 건립을 추진해왔고, 거제시와의 협의를 통해 거제시 문화예술회관 내 평화의소녀상 옆으로 부지를 변경 하여 건립 신청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거제시는 최근 ‘거제시 공공조형물 건립 및 관리 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 열린 공공조형물 건립 심의위원회에서 일제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신청이 최종 부결됐다고 통보했다.

 

거제시는 부결 이유로 “거제시 문화예술회관 내 거제 평화의소녀상 부지는 문화예술 목적에 따라 사용돼야 하는데 강제징용 노동자상은 문화예술품이 아니라는 점과 일부 주민의 반대가 있었다는 점”을 들었다. 

 

이미 문화예술회관 내에 평화의소녀상이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제시는 문화예술 목적을 운운하며 강제징용 노동자상의 건립을 막아 나섰다. 노동자상 건립을 불허하기 위한 명분을 찾기 위해 말도 되지 않는 논리를 내세운 것이다.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신청 부결 사유로 들었던 나머지 사안도 마찬가지이다. 공공의 장소에 설치하는 조형물에 주민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으나, 거제시는 ‘일부 주민의 반대’라는 사유에 대한 그 어떤 근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최근 들어 거제 지역에서 역사를 부정하고 왜곡하는 친일극우 성향 단체의 활동이 잦아졌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일부 주민의 반대’가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불가의 이유라면, 역사를 기억하며 역사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해 강제징용 노동자상 건립 기금에 정성을 보탰던 거제의 수많은 주민들은 과연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거제시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설치하기 위한 논의는, 이미 지난 2021년 노정협의에서 민주노총 거제지역지부의 주도로 시작되었다. 당시 문화예술회관 평화의소녀상 옆에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설치하자는 의견은 거제시에서 먼저 제안했다고 알려졌다.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던 거제시가 하루 아침에 말을 바꾸어 강제징용 노동자상의 설치를 막아 나선 이유가 궁금하다.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역사를 지워버리고 강제동원 피해자를 우롱하는 중앙정부의 행보에 알아서 기겠다는 지방정부의 선제적 조치인지, 일본의 눈치를 보며 대법원의 강제동원 사죄배상 판결도 무시하는 중앙정부의 입김이 작용했는지는 두고 볼 일이다.

 

인천, 서울, 부산, 경남, 울산, 전남, 충남, 대전, 제주. 

이미 전국 곳곳에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설치되어있다. 선배 노동자들의 역사를 잊지 않고, 반드시 역사를 바로 세우겠다는 의지를 담아 노동자들과 시민사회가 함께 건립한 것이다. 

전국에서 열 번째로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설치될 예정이었던 장승포는 일제강점기 주요 전략거점으로, 한반도에 대한 경제적 수탈과 강제징용의 뼈아픈 역사가 잠들어 있는 상징적인 곳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장소에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건립하는 일은 단 하루도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민주노총은 거제의 노동자·민중들과 끝까지 연대하며 역사정의 실현을 위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거제시가 윤석열 정부의 굴욕외교에 편승해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를 계속 막아 나선다면, 120만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비롯한 2천만 노동자들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불허 거제시를 규탄한다!

거제시는 강제징용 노동자상 설치 불허 철회하라!

 

 

2023년 12월 1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