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문서자료

산재요양노동자지원연대를 위한 단위노조참고자료

작성일 2005.06.29 작성자 정책기획 조회수 2769
Atachment
첨부파일 다운로드
산재요양노동자 지원·연대를 위한 단위노조 참고자료(지침)

1. 노동조합 지침

1) 회사를 상대로 한 업무지침
① 산재노동자 현황 자료 회사로부터 정기접수 및 분석
- 휴직발령 사유, 요양내역, 복직여부, 작업내역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재해 다발 직종에 대한 파악 등 현장 유해요인조사.

2) 병원을 상대로 한 업무지침
① 병원별 요양자 변동현황 및 병원 요양서비스 실태 정기파악
- 일정 수 이상의 노동자가 요양을 받고 있는 병원에 대해서는 입원, 통원, 전원 등을 조사하며 또한 면담,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병원별 요양서비스 실태를 파악.

3) 요양노동자 전체를 위한 업무지침
① 산재노동자 지원카드 작성
- 주소, 전화, 재해경위, 요양병원, 요양상병, 담당대의원 등 기초 자료 확보
② 산재노동자 전원에게 고충을 상담 할 수 있는 연락처 지급
- 노조 및 안전보건단체, 고문 노무사 및 변호사 등 과 연락하여 지원 받을 수 있도록 자료 제공
③ 산재노동자별 담당자 배정(상근집행위원 전원에게 배정)
- 산재요양중인 노동자들과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최소 2주 1회 이상 전화 또는 만남을 유지하여 고충사항 파악 및 노조사업 공유.
④ 노조소식지 정기배포(현장소식을 알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 지역병원: 발간당일 배포(늦어도 다음날까지 완료)
- 먼 거리 병원: 우편으로 정기발송
- 위원장 편지발행(자택주소 우편배달)

4) 입원 노동자를 위한 업무지침
① 병원별 산재노동자 소위원(연락담당자) 선정
- 일정 수 이상의 노동자가 요양을 받고 있는 병원에 대해서는 업무처리의 효율성을 위하여 연락담당자를 선정한다.
- 입원, 통원 구분하여 선정하고 긴급연락망을 구축한다. 퇴원 때는 반드시 후임 소위원을 선임하여 연결한다.
- 노조소식지를 인편, 우편, 메일 등으로 제공 할 경우 병원에서 배포를 담당한다.
- 산재노동자 고충 및 현안문제를 집단화하여 노조와 대책활동을 추진한다.
② 병원상담 정기배치
- 산안(노동안전)담당자는 일정 수 이상의 노동자가 요양을 받고 있는 병원에 대해서는 월1회 이상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한다.
③ 병원별 노조임원 정기 간담회 실시
- 일정 수 이상의 노동자가 요양을 받고 있는 병원에 대해서는 노조 임원이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산재노동자와 간담회를 실시한다.
- 간담회를 통하여 노조사업에 대한 공유 및 교육 등을 실시한다.
- 간담회를 통하여 산재노동자 고충 등 설문조사.

5) 통원 노동자를 위한 업무지침  
① 노조 임원과의 정기 간담회 실시
- 정기적으로 산재노동자를 초청하여 간담회를 실시한다.
- 간담회를 통하여 노조사업에 대한 공유 및 교육 등을 실시한다.
- 간담회를 통하여 산재노동자 고충 등 설문조사.
② 산재노동자 재활행사 개최
-걷기, 산행, 수영 등 산재요양중인 조합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행사와 근무 중인 조합원들과 함께 하는 행사를 병행하여 실시.  
-요양 전 근무부서의 각종행사(경조사, 회식, 야유회 및 일반 행사 등)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대의원과 근무 중인 조합원들에게 소식지 등에 공개독려 하여 요양조합원들의 참여 기회 확대한다.

2. 요양노동자 업무 지침
① 회사측 관리자 또는 근로복지공단 관계자로부터 연락이 올 경우 즉시 노동조합에 보고.
- 회사와 공단으로부터 인권침해에 해당하는 감시체계가 강화되고 있음으로 노동조합과 항상 유기적인 연락관계를 유지한다.
② 요양과정에서 느끼는 불편 부당한 사례는 즉시 노동조합에 보고.
- 요양서비스 개선 및 재발 방지를 위하여 노동조합과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다.

3. 기타 추진해야할 업무지침
-각종간담회, 상담, 설문에서 재해원인 분석과 집약되는 개선의견을 추출하여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및 현장개선 활동에 반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산재노동자가 산재노동자 모임 또는 지원행사 참여치 못하는 경우 상집 요양담당자가 상황을 파악하여 고충이나 특이사항 유무를 확인하여 산안담당자와 연계시켜 재활지원이 되도록 한다.
수정    삭제          목록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