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0개 국가의 경제와 임금, 노동시간 실태를 비교한 결과,
― 2007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5.0%로 7위, 소비자물가 인상률은 2.9%로 6위,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3.6%로 3위이며 민간부문 1인당 임금인상률은 5.0%로 7위로 전망됨.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1.7%로 OECD 국가 중 18위로 예상되어 올해 생산성 증가율에 비해 임금인상률은 매우 낮음.
― 1997-2006년 10년간 민간부문 1인당 임금인상률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미치지 못했음. 10년간 임금인상률 추이를 살펴보면 평균 4.3%이며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3.2%임. 노동생산성 증가율 대비 평균 임금인상률은 1.3으로 OECD 평균 2.0보다 낮아 세계 24위임. 단위노동비용을 미국달러로 환산했을 때 평균 100.7에 불과해 세계 21위인 반면, 연간 노동시간은 1996-2005년 10년간 부동의 세계 1위임.
― 따라서, 인건비 증가율만 높다는 재계와 보수언론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임금억제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의도에 불과함.
― 2007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5.0%로 7위, 소비자물가 인상률은 2.9%로 6위,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3.6%로 3위이며 민간부문 1인당 임금인상률은 5.0%로 7위로 전망됨.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1.7%로 OECD 국가 중 18위로 예상되어 올해 생산성 증가율에 비해 임금인상률은 매우 낮음.
― 1997-2006년 10년간 민간부문 1인당 임금인상률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미치지 못했음. 10년간 임금인상률 추이를 살펴보면 평균 4.3%이며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3.2%임. 노동생산성 증가율 대비 평균 임금인상률은 1.3으로 OECD 평균 2.0보다 낮아 세계 24위임. 단위노동비용을 미국달러로 환산했을 때 평균 100.7에 불과해 세계 21위인 반면, 연간 노동시간은 1996-2005년 10년간 부동의 세계 1위임.
― 따라서, 인건비 증가율만 높다는 재계와 보수언론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임금억제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의도에 불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