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노동통계국(BLS)이 지난 2월 28일 발표한 ‘16개국 제조업 노동생산성과 단위노동비용 국제비교(1952-2006년)’를 검토한 결과,
― 우리나라는 2006년 현재 시간당생산성(10.8%), 1인당생산성(8.8%), 제조업생산성(8.4%) 모두 비교국가들보다 월등하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음. 시간당임금인상률(6.8%), 평균임금인상률(5.0%), 총임금인상률(4.5%), 시간당임금 실질인상률(4.5%), 평균임금 실질인상률(2.7%)도 비교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났음. 생산성 대비 임금인상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단위노동비용을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3.6%으로 16개국 중 15위이며, 미국달러로 환산했을 경우 환율급등으로 인해 3.5%로 4위임.
― 우리나라는 2000-2006년 시간당생산성(7.7%), 1인당생산성(6.5%), 제조업생산성(8.4%)에 비해서도 시간당임금(7.7%), 연평균임금 인상률(6.5%)이 낮음. 그 결과 같은 기간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0.1%로 선진국과 비교해도 7위에 불과함.
― 따라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 증가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채 인건비 증가율만 높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임금억제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의도에 불과함.
― 우리나라는 2006년 현재 시간당생산성(10.8%), 1인당생산성(8.8%), 제조업생산성(8.4%) 모두 비교국가들보다 월등하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음. 시간당임금인상률(6.8%), 평균임금인상률(5.0%), 총임금인상률(4.5%), 시간당임금 실질인상률(4.5%), 평균임금 실질인상률(2.7%)도 비교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났음. 생산성 대비 임금인상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단위노동비용을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3.6%으로 16개국 중 15위이며, 미국달러로 환산했을 경우 환율급등으로 인해 3.5%로 4위임.
― 우리나라는 2000-2006년 시간당생산성(7.7%), 1인당생산성(6.5%), 제조업생산성(8.4%)에 비해서도 시간당임금(7.7%), 연평균임금 인상률(6.5%)이 낮음. 그 결과 같은 기간 단위노동비용 증가율은 0.1%로 선진국과 비교해도 7위에 불과함.
― 따라서,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 증가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은 채 인건비 증가율만 높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임금억제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의도에 불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