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10.5일자(15면)에는 “日도요타 車 3000명 정규직 전환”이라는 기사가 실렸다. ‘도요타 자동차가 내년 여름까지 2,000~3,000명 규모의 계약직 사원을 노동조합원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는 기사다. 일본 내 22개 공장에 근무하는 약 9,000명의 계약직사원을 순차적으로 정규직화 한다는 내용이다. 정규직 전환은 인재를 확보하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조치라는 것이다. 현재 도요타 자동차 조합원은 6만 1천여 명인데 비정규직인 계약직은 15%인 9,200명이다. 노조는 이런 상황에서 비정규직 사원 가입에 필요한 규정을 새로 마련할 것이라 한다. 도요타는 고정비용 증가를 막기 위해 정규직 대신 계약직 사원을 늘려왔다.’는 내용의 기사를 지난 10월 4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한 내용을 소개했다.
10월5일자 주요 신문에 노동기사는 눈을 비비며 찾아봐도 보이지 않았다. 유일하게 매일경제가 이 기사를 실었다. 조선, 동아, 한겨레, 경향, 한국경제 어디에도 없는 기사였다. 모두 남북정상회담기사로 채워졌다.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는 기사이거나 아니면 폄훼하는 기사들이었다. 그런데 매일경제신문이 이런 기사를 소개했다는 것이 매우 의아스러웠다. 도요타가 하는 일은 모두 좋은 일이라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그 동안 매일경제를 비롯한 자본언론들은 임금이라는 고정비용의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필요하고 이는 구체적으로 자유로운 해고와 비정규직의 활용이라고 주장해 왔다.
이제까지 도요타에 관한 기사는 이렇다. 도요타는 수십 년 동안 파업을 하지 않는다. 물론 최근에는 수조 엔의 순이익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임금을 동결하고 있다. 물론 회사와 노조가 성과급이라는 명목으로 실질적으로 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한다. 그러면서 현대, 기아차의 파업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으로 공격한다. 항상 도요타 사례를 들면서 말이다. 기아나 현대차의 비정규직노동자 문제가 나오기만 하면 정규직 노동자의 고용경직성(정규직)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또 비정규직노동자가 차별에 저항하여 노조를 만들고 투쟁이라도 할라치면 노-노 갈등 운운하면서 불법에 강력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역시 이 날 기사는 도요타 자동차가 3000명을 정규직화 한다는 데 대해서만 싣고는 그쳤다. 이제까지처럼 자신의 주장을 달지 않았다. 회사나 노조의 결정에 대해 찬, 반 입장을 밝혀야 하는 데 그대로 기사만 옮겨왔다. 차마 도요타의 결정을 찬성한다거나 한국의 현대, 기아차의 비정규직노동자들도 정규직화시켜 경쟁력과 생산력을 높여야 한다는 말을 할 수가 없었던 모양이다. 현대, 기아차가 그런 경영방침을 내리지도 않았는데 먼저 앞서 나갈 수 없었을 것이다. 설령 회사가 그런 방침을 내렸더라도 매우 떨떠름한 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다. 자본언론의 기조와 논조를 전면적으로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수 백 억원인지 수 천 억원인지 회사 돈을 횡령했지만 기껏 사회봉사활동(물론 강연이나 신문기고 정도)을 하도록 판결을 받은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이번 남북정상회담 회담 때 대통령을 수행하면서 ‘자동차 도사’라는 칭찬까지 들었다. 그 도사께서 도요타 자동차와 경쟁한다면 현대, 기아차 비정직 노동자들을 정규직화하는 조치부터 내려야 하지 않을까?
10월5일자 주요 신문에 노동기사는 눈을 비비며 찾아봐도 보이지 않았다. 유일하게 매일경제가 이 기사를 실었다. 조선, 동아, 한겨레, 경향, 한국경제 어디에도 없는 기사였다. 모두 남북정상회담기사로 채워졌다.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는 기사이거나 아니면 폄훼하는 기사들이었다. 그런데 매일경제신문이 이런 기사를 소개했다는 것이 매우 의아스러웠다. 도요타가 하는 일은 모두 좋은 일이라서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그 동안 매일경제를 비롯한 자본언론들은 임금이라는 고정비용의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필요하고 이는 구체적으로 자유로운 해고와 비정규직의 활용이라고 주장해 왔다.
이제까지 도요타에 관한 기사는 이렇다. 도요타는 수십 년 동안 파업을 하지 않는다. 물론 최근에는 수조 엔의 순이익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임금을 동결하고 있다. 물론 회사와 노조가 성과급이라는 명목으로 실질적으로 임금을 인상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한다. 그러면서 현대, 기아차의 파업에 대해서는 무조건적으로 공격한다. 항상 도요타 사례를 들면서 말이다. 기아나 현대차의 비정규직노동자 문제가 나오기만 하면 정규직 노동자의 고용경직성(정규직)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또 비정규직노동자가 차별에 저항하여 노조를 만들고 투쟁이라도 할라치면 노-노 갈등 운운하면서 불법에 강력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역시 이 날 기사는 도요타 자동차가 3000명을 정규직화 한다는 데 대해서만 싣고는 그쳤다. 이제까지처럼 자신의 주장을 달지 않았다. 회사나 노조의 결정에 대해 찬, 반 입장을 밝혀야 하는 데 그대로 기사만 옮겨왔다. 차마 도요타의 결정을 찬성한다거나 한국의 현대, 기아차의 비정규직노동자들도 정규직화시켜 경쟁력과 생산력을 높여야 한다는 말을 할 수가 없었던 모양이다. 현대, 기아차가 그런 경영방침을 내리지도 않았는데 먼저 앞서 나갈 수 없었을 것이다. 설령 회사가 그런 방침을 내렸더라도 매우 떨떠름한 상태에 빠지게 될 것이다. 자본언론의 기조와 논조를 전면적으로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수 백 억원인지 수 천 억원인지 회사 돈을 횡령했지만 기껏 사회봉사활동(물론 강연이나 신문기고 정도)을 하도록 판결을 받은 정몽구 현대차 회장은 이번 남북정상회담 회담 때 대통령을 수행하면서 ‘자동차 도사’라는 칭찬까지 들었다. 그 도사께서 도요타 자동차와 경쟁한다면 현대, 기아차 비정직 노동자들을 정규직화하는 조치부터 내려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