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기자회견문]철도,가스 2차 연대 총파업 회견문 - 명동성당 앞 11:00
국가기간산업 민영화(사유화)저지를 위한 공동투쟁본부
철도·가스 노조위원장 2차 연대총파업 기자회견문
1. 국가기간산업인 철도와 발전, 그리고 가스를 국내외 독점자본에 매각하려는 정부의 정책방침 철회를 요구하며 역사적인 3개 노조 공동파업에 돌입했던 우리 철도, 발전, 가스 노조 위원장은 2월 25일 새벽 4시 파업선언 기자회견을 했던 명동성당 바로 그 자리에 서서 또다시 파업돌입 선언을 해야하는 상황이 올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었다.
2. 사회 각계 각층의 원로와 시민단체, 교수, 전력산업 전문가, 그리고 국회 마저 '충분한 국민적 동의와 공감대를 형성한 뒤 발전소 매각문제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권고하고, 전국민의 82%가 발전소를 해외에 매각하려는 정부 방침에 반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대중 정부는 국민의 뜻을 받들려 하기는 커녕 300명이 넘는 조합원을 이미 해고 했고, 4000여명이 넘는 조합원에게는 전원 해고 하겠다는 협박을 하고 있다. 발전소 매각철회를 요구했던 노조가 양보에 양보를 거듭하여 '발전소 매각철회를 언급치 않는다'는 제안까지 했음에도 정부는 '발전소 매각을 인정한다는 문서에 서명하기'를 강요했다. 이는 자칭 국민의 정부인 김대중 정부가 국민은 아예 안중에도 없을 뿐만아니라, 이미 언론에 보도된대로 미국의 거대 에너지기업(미란트, 엘파소, AES 등)에 발전소를 매각키로 이미 모종의 방침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은 아닌지 의심을 살 정도이다. 때문에 국가기간산업 사유화 저지에 뜻을 같이했던 철도와 가스 노동조합은 김대중 정권의 매국적이고 반인륜적인 폭력에 맞서 발전노조 투쟁을 지켜내고, 나아가 이나라 국민이면 누구나 향유해야 할 보편적 공공서비스를 지켜내기 위해 또다시 머리띠를 질끈 동여맬 작정이다.
3. 더불어 지난 2월 27일 철도 파업을 종료하면서 작성했던 철도 민영화 관련 사항이 파업 종료 다음날 정부의 발표로 뒤집어 지고, 징계와 사법처리를 최소화 하겠다던 '노사합의서'는 잉크가 채 마르기도 전에 8명 간부 구속, 57명 간부 고소고발, 23명 직위해제 16억원에 이르는 손해배상 청구, 2,000여명에 이르는 현장관리자급 조합원에 대한 탈퇴 유도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접하며 김대중 정부의 약속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치떨리는 분노로 고발하지 않을 수 없다.
4. 가스공사의 경우도 예외일수 없다. 노동조합의 가스산업구조개악 철회 파업의 열기가 채 식기도 전에 공사측과 정부는 올해에 반드시 가스산업구조개악을 강행하겠다며 전혀 근거도 없는 2월 국회합의설을 들고 나오는 등 노동조합의 2월25일 충정어린 파업철회 명분마저 무참히 짓밟아 버리는 기만적인 작태를 보이고 있다.
5. 이에 철도와 가스 노조는 제2차 연대파업에 돌입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정부에 다음 사항을 요구한다.
첫째 : 정부는 발전, 철도, 가스등 국가기간 산업에 대한 해외매각, 사유화 방침을 철회할 것.
둘째 : 정부는 지금 즉시 발전노조와의 협상에 나서며, 이미 해고한 342명 조합원의 범위를 노조와 협상을 통해 최소화 할 것
셋째 : 4,000여명에 이르는 미복귀 조합원에 대한 전원해고방침을 즉각 철회 할 것
넷째 : 지난 2월 25일 공동파업에 돌입했던 철도와 가스에 자행되고 있는 현장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파업종료시 노사합의 사항을 즉각 이행할 것.
이상과 같은 우리의 요구에 정부는 성실하게 응할 것을 촉구하며, 이를 거부함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김대중 정부에 있음을 엄중하게 경고한다.
발전노조 요구와 철도노조, 가스노조의 요구와 투쟁목표는 결코 다르지 않다. 철도노조, 가스노조는 사유화 철회와 민주노조 사수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발전동지들과의 연대 재파업 투쟁에 대한 만반의 준비에 지금 이 시간부터 돌입해 나갈 것이다.
2002년 3월 31일
전국철도노동조합 / 한국가스공사노동조합
국가기간산업 민영화(사유화)저지를 위한 공동투쟁본부
철도·가스 노조위원장 2차 연대총파업 기자회견문
1. 국가기간산업인 철도와 발전, 그리고 가스를 국내외 독점자본에 매각하려는 정부의 정책방침 철회를 요구하며 역사적인 3개 노조 공동파업에 돌입했던 우리 철도, 발전, 가스 노조 위원장은 2월 25일 새벽 4시 파업선언 기자회견을 했던 명동성당 바로 그 자리에 서서 또다시 파업돌입 선언을 해야하는 상황이 올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었다.
2. 사회 각계 각층의 원로와 시민단체, 교수, 전력산업 전문가, 그리고 국회 마저 '충분한 국민적 동의와 공감대를 형성한 뒤 발전소 매각문제를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권고하고, 전국민의 82%가 발전소를 해외에 매각하려는 정부 방침에 반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김대중 정부는 국민의 뜻을 받들려 하기는 커녕 300명이 넘는 조합원을 이미 해고 했고, 4000여명이 넘는 조합원에게는 전원 해고 하겠다는 협박을 하고 있다. 발전소 매각철회를 요구했던 노조가 양보에 양보를 거듭하여 '발전소 매각철회를 언급치 않는다'는 제안까지 했음에도 정부는 '발전소 매각을 인정한다는 문서에 서명하기'를 강요했다. 이는 자칭 국민의 정부인 김대중 정부가 국민은 아예 안중에도 없을 뿐만아니라, 이미 언론에 보도된대로 미국의 거대 에너지기업(미란트, 엘파소, AES 등)에 발전소를 매각키로 이미 모종의 방침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은 아닌지 의심을 살 정도이다. 때문에 국가기간산업 사유화 저지에 뜻을 같이했던 철도와 가스 노동조합은 김대중 정권의 매국적이고 반인륜적인 폭력에 맞서 발전노조 투쟁을 지켜내고, 나아가 이나라 국민이면 누구나 향유해야 할 보편적 공공서비스를 지켜내기 위해 또다시 머리띠를 질끈 동여맬 작정이다.
3. 더불어 지난 2월 27일 철도 파업을 종료하면서 작성했던 철도 민영화 관련 사항이 파업 종료 다음날 정부의 발표로 뒤집어 지고, 징계와 사법처리를 최소화 하겠다던 '노사합의서'는 잉크가 채 마르기도 전에 8명 간부 구속, 57명 간부 고소고발, 23명 직위해제 16억원에 이르는 손해배상 청구, 2,000여명에 이르는 현장관리자급 조합원에 대한 탈퇴 유도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실을 접하며 김대중 정부의 약속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치떨리는 분노로 고발하지 않을 수 없다.
4. 가스공사의 경우도 예외일수 없다. 노동조합의 가스산업구조개악 철회 파업의 열기가 채 식기도 전에 공사측과 정부는 올해에 반드시 가스산업구조개악을 강행하겠다며 전혀 근거도 없는 2월 국회합의설을 들고 나오는 등 노동조합의 2월25일 충정어린 파업철회 명분마저 무참히 짓밟아 버리는 기만적인 작태를 보이고 있다.
5. 이에 철도와 가스 노조는 제2차 연대파업에 돌입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정부에 다음 사항을 요구한다.
첫째 : 정부는 발전, 철도, 가스등 국가기간 산업에 대한 해외매각, 사유화 방침을 철회할 것.
둘째 : 정부는 지금 즉시 발전노조와의 협상에 나서며, 이미 해고한 342명 조합원의 범위를 노조와 협상을 통해 최소화 할 것
셋째 : 4,000여명에 이르는 미복귀 조합원에 대한 전원해고방침을 즉각 철회 할 것
넷째 : 지난 2월 25일 공동파업에 돌입했던 철도와 가스에 자행되고 있는 현장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파업종료시 노사합의 사항을 즉각 이행할 것.
이상과 같은 우리의 요구에 정부는 성실하게 응할 것을 촉구하며, 이를 거부함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김대중 정부에 있음을 엄중하게 경고한다.
발전노조 요구와 철도노조, 가스노조의 요구와 투쟁목표는 결코 다르지 않다. 철도노조, 가스노조는 사유화 철회와 민주노조 사수의 목표를 분명히 하고 발전동지들과의 연대 재파업 투쟁에 대한 만반의 준비에 지금 이 시간부터 돌입해 나갈 것이다.
2002년 3월 31일
전국철도노동조합 / 한국가스공사노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