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보도]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 활동 지침서' 처음 펴내

작성일 2003.09.17 작성자 교육선전실 조회수 2436
< 민주노총 2003. 09. 17 보도자료 1 >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 활동 지침서' 처음 펴내

- 근골격계질환의 이해, 투쟁의 운동사적 정리와 과제, 노조의 활동전략과 실무내용 등 노동조합의 근골격계 대책 활동 모든 것 담아

1. 노동조합의 근골격계 직업병 대책활동에 대한 지침서가 처음 나왔습니다. 민주노총은 근골격계질환의 이해와 투쟁의 역사·과제 그리고 활동 전략은 물론 구체적인 실무내용 등 노동조합의 근골격계 직업병 대책활동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252쪽 분량의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 활동 지침서 [당신의 노동은 안전합니까?]를 펴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근골격계 대책활동 전반을 담은 실무 지침서가 나오기는 처음입니다. 민주노총은 지침서를 펴내기 위해 국내외 관련 자료는 물론이고 노동조합의 구체적인 활동 사례를 바탕으로 관련 전문가들과 토론, 공청회 등을 거쳐 6개월의 작업 끝에 결실을 거뒀습니다.

2. 이 책은 5부로 나누어 근골격계질환의 이해,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의 투쟁,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의 활동 전략과 실무활동으로 엮었고, 근골격계 질환자와 위험작업의 사례를 칼라로 소개하고 있으며, 관련된 법조항 등을 부록으로 덧붙였습니다. 1부 근골격계질환의 이해에서는 국내외 실태와 의학적 특징 그리고 발생원인 등이 다루어졌고, 2부 노동조합의 투쟁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진행한 투쟁의 역사와 현재 요구받고 있는 운동적 과제를 담고 있습니다. 3부와 4부는 노동조합의 활동 전략과 전술을 현장 활동 사례와 단위노조 활동가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했습니다.

3. 지침서 집필에는 노동조합 간부와 산재단체 활동가는 물론이고 관련 연구소와 대학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했습니다.

※ 책을 촬영한 파일을 첨부합니다.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 활동지침서 [당신의 노동은 안전합니까?]

* 책 크기 - 신국판, 252쪽, 사례모음 칼라
* 값 10,000원 (구입문의 / 민주노총 산업안전부장 02-2675-9746, 019-216-7385)

<차례>
▷제1부 근골격계질환의 이해
1. 근골격계질환이란?
2. 근골격계질환의 의학적 특징
3. 근골격계질환의 실태
4. 근골격계질환의 발생원인
5. 신체부위별 흔한 근골격계질환과 관련 작업요인
6. 근골격계질환의 대책
7. 근골격계질환의 해결의 어려움
▷제2부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의 투쟁
1. 노동조합의 투쟁 그 성과와 한계
2. 주요 쟁점과 대안
3.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자의 권리
4.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운동
5. 남아있는 과제
▷제3부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의 활동 전략
1. 집단직업병 인정 투쟁
2. 임시 건강진단 요구
3. 근골격계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노동조합 조직체계
4. 노동조합의 교육
5. 충북지역 산업안전보건 간부들의 의견
▷제4부 근골격계질환과 노동조합의 실무 활동
1. 노동조합에서 할 수 있는 위험요인 평가
2. 기타 근골격계질환 관련 사업장 위험요인 평가도구
3. 위험요인 개선대안
4. 현장에서 환자 찾기
5. 법에 보장된 근골격계질환 건강검진
6. 환자 관리
7. 재활프로그램
8. 물리치료실
9. 휴식시간
10. 근골격계질환과 잔업, 특근, 인센티브
11. 비정규직 노동자(인력충원의 문제)
12. 현장에서 고쳐야 되거나, 잘못 알려진 노동자의 관점
▷제5부 부록
1.산업안전보건법 관련 조항
2.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단협(안)
3. 근골격계질환 노사 대책위원회 운영 규정(안)

<집필진>
권영준 한림대 산업의학과 교수
김은기 노동안전보건교육센터 간사
박세민 금속산업연맹 산업안전국장
백승렬 인천대 노동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이윤근 원진노동환경건강연구소 책임연구원
임상혁 원진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
조성애 건강한노동세상 사무국장
조태상 민주노총 산업안전부장
수정    삭제          목록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