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보도]5일부터 서울에서 아시아노조연대회의

작성일 2003.11.03 작성자 교육선전실 조회수 2155
< 민주노총 2003. 11. 3 보도자료 2 >

5일부터 서울서 아시아노조 연대회의

신자유주의 맞선 아시아 노동자 단결과 연대 주제 열띤 토론
인도·말레시아·인도네시아·태국 등 12개국 노조 한자리에

1. 민주노총은 5일부터 서울 은평구 불광동 한국여성개발원에서 인도·말레시아·인도테시아·태국 등 12개국 노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아시아 노동조합 연대회의'(Asian Regional Trade Unoin Conference)를 열고 각국의 노동현실과 노동운동 경험을 함께 나누고 신자유주의에 맞선 아시아 노동자들의 단결과 연대를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합니다.

2. 신자유주의 세계화 경향 속에서 자본이 국경을 넘어 노동자들의 생활조건을 악화시키고 사회의 공공성을 파괴하는 가운데 자본의 이 과정에서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지역화 경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아시아에서도 자본의 지역화 경향이 강화되는 상황이며 이는 한일투자협정 체결에 이어 한일자유무역협정, 한싱가포르자유무역협정 체결 추진으로 현실화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더 이같은 추세가 강화돼 아시아 지역 전체 노동자들의 고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민주노총의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이에 따른 노동자 삶의 파괴에 대해 일국 노동운동만으로 대응하기에 어려움이 많고 아시아 노동자들의 공동대응과 연대가 시급하다는 판단 아래 노르웨이노총(LO-Noraway)의 후원을 받아 연대회의를 추진하게 됐습니다.

3. 개최하는 이번 연대회의는 5일 오전 단병호 민주노총 위원장의 개막연설을 시작으로 7일 폐막 문화제까지 사흘동안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9일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 참가한 후 10일 출국할 예정입니다.
5일에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노조운동의 미래, 미국의 군사패권주의와 아시아 그리고 노조의 과제, 아시아 이주노동자와 여성을 주제로 각각 토론을 벌입니다. 6일에는 초국적기업과 노동기본권 노조의 대응방향,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 사유회 개방화와 노조의 대응, 신자유주의 노동의 비정규직·비공식화와 빈곤화 등을 주제로 토론을 벌입니다. 7일 아시아 노동운동 지도자 전략회의를 열어 토론결과를 종합하고 공동대응 방향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8일에는 경기도 마석 모란공원을 방문해 전태일 등 노동열사 묘소를 참배하고 9일 열리는 민주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도 참석할 예정입니다.

※ 덧붙인 자료 : 아시아지역 노조 연대회의 참가자 / 행사일정 안내
※ 문의 : 이창근 민주노총 국제부장 019 - 257 - 0165
1. 아시아노조연대회의 참가자

필리핀 5.1절운동(KMU) 위원장 엘머 라보그(Elmer Labog)
필리핀 필리핀노동자연대(BMP) 위원장 빅토르 브리즈(Victor Briz)
필리핀 교원노조(ACT) 위원장 단테 안토니오(Dante Antonio)
홍콩 홍콩노총(HKCTU) 집행위원장 엘리자베스 탕(Elizabeth Tang)
인도 인도노동조합회의(CITU) 사무처장(Secretary) 파드마나반(A K Padmanabhan)
인도 전인도노동조합회의(AITUC) 사무총장 마하데반(H. Mahadevan)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노동조합 위원장 툐노(Tyono)
인도네시아 전국노동자투쟁전선(FNPBI) 국제국장 카타리나 푸지아츄티(Katarina Pujiastuti)
네팔노총(GEFONT) 사무총장 비쉬누 리말(Bishnu Rimal)
남아공노총(COSATU) 사무국장 오우파 보디베(Oupa BODIBE )
남아공공무원노조 사무부총장 안딜레 실랄라(Andile Sihlahla )
태국철도노조 위원장 솜삭 코사이숙(Somsak Kosaisuk)
태국 민주노조연맹 몽콜 솜크라부안(Mongkol Somkrabuan)
태국 여성노동자단결 사무처장(Secretary) 플로엔피트 스리시리(Ploenpit Srisiri )
말레이시아 전국고무생산노조 사무총장 잠브리 압둘 라하만(Zambri Abdul Rahaman)
말레이시아 전기산업노조 사무총장 누어 라쉬드 빈 체맡(Noor Rashid bin Che Mat)
일본 전노협 부위원장 나카오카 모토아키(Nakaoka Motoaki)
일본 전노련 사무부총장 유키오 이와타(Yukio Iwata)
일본 전일본항만노조 중앙본부 서기장 이토 아키노부(ITOH AKINOBU)
호주 남반구노조연대(SIGTUR) 코디네이터 롭 램버트(Rob Lambert)
말레이시아 남반구노조연대(SIGTUR) 방콕총회 조직담당 아로키아 다스(Arokia Dass)
노르웨이노총 아시아 컨설턴트 플로로 프란시스코(Floro R. Francisco)
파키스탄노동자연맹 위원장 시에드 파키르 후세인
파키스탄노동자연맹 사무총장 하지 무하마드 사이드
파키스탄노동자연맹 여성위원장 아티아 살림
파키스탄노동자연맹 재정위원장 샤흐자다 자후르 울 이슬람
파키스탄노동자연맹 부위원장 무하마드 자히드
파키스탄노동자연맹 부위원장 무하마드 이쉬파크


2. 아시아지역 노동조합 연대회의 일정
- 서울 은평구 불광동 한국여성개발원 국제회의장/ 국회회의실(전화 3156-7222,7224)

○ 11월 5일 수요일

09:30 개회식(사회 : 이재웅 민주노총 사무총장)
- 개막 연설 : 단병호 민주노총 위원장
- 회의 프로그램 및 기타 정보 소개

10:00 - 12:30 전체 회의
-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노동조합 운동의 미래"(국제회의장)
- 사회자 : 비쉬누 리말(사무총장, 네팔노총GEFONT)
- 발제자
▷ 아시아 노동조합운동의 과제 - IMF 위기 이후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에 맞선 민주노총 투쟁의 교훈과 함의를 중심으로 : 김태연(민주노총 정책기획실장)
▷ 자본의 지역화 경향에 맞선 동남아시아 노동조합운동의 과제 - ASEAN 자유무역협정을 중심으로 : 잠브리 압둘 라하만(말레이시아 전국고무생산노조 사무총장)
▷ 노동조합운동과 민중·사회운동 부문과의 연대 - 태국 사례를 중심으로 : 솜삭 코사이숙(태국 철도노동조합 위원장)
▷ 국제노동운동의 진보적·민주적 발전을 위한 아시아 노동조합 운동의 역할 : 엘머 라보그(필리핀 5.1절운동KMU 위원장)
▷ 아시아 노동조합 운동의 단결과 연대의 장벽과 극복 전망 : 나까오카 모토야키(전노협 부위원장)

11:00 - 11:15 휴식 / 11:00 - 12:30 토론 / 12:30 - 14:00 점심

14:00 - 17:30 전체 회의
- "미국의 군사패권주의와 아시아 그리고 노동조합의 과제"(국제회의장)
- 사회자 : 엘리자베스 탕(집행위원장, 홍콩노총HKCTU)
- 발제자
▷ 미 군사패권주의와 동북아시아, 그리고 노동조합의 과제 : 이회수(민주노총 대협실장)
▷ 일본 군국주의화 흐름에 맞선 노동조합의 대응 - 한일노동자연대 전략을 중심으로 : 유키오 이와타(일본 전노련 사무부총장)
▷ 동남아시아 반전투쟁과 노동조합의 역할 -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 카타리나 푸지아츄티(인도네시아전국노동자투쟁전선FNPBI 국제국장)
▷ 남아시아 반전투쟁과 노동조합의 역할 - 인도 사례를 중심으로 : A K 파드만반(인도노동조합회의CITU 사무처장)
▷ 일본 노동조합의 반전평화투쟁 사례 발표 - 이토 아키노부(전全일본항만노조 중앙본부 서기장)

13:00 - 15:20 휴식 / 15:20 - 17:30 토론 / 17:30 - 18:30 저녁
18:40 - 20:30 워크숍 "아시아 이주 노동과 여성"(국제회의장)
- 사회자 : 누어 라쉬드(말레이시아 전기산업노동조합 사무총장)
- 발제자
▷ 이향원(민주노총 부위원장) ▷ 엘리자베스 탕(홍콩노총 집행위원장) ▷ 엘머 라보그(KMU 위원장)
▷ 샤말(민주노총 이주지부 지부장)

○ 11월 6일 목요일

09:00 - 09:30 워크숍 소개
09:45 - 12:00 워크숍
- "초국적기업과 노동기본권, 그리고 노동조합의 대응 방향"(국제회의장)
- 사회자 : 정식화(금속연맹 부위원장)
- 발제자
▷ 노재열(금속연맹 정책실장) ▷ 몽콜 솜크라부안(태국 민주노조연맹) ▷ 누어 라쉬드(말레이시아 전기산업노동조합 사무총장) ▷ A K 파드만반(인도노동조합회의CITU 사무처장)

- "공공부문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국제회의실)
- 사회자 : 박수근(교수노조)
- 발제자
▷ 이민형(공무원노조 정책국장) ▷ 레이문드 빌라누에바(필리핀 교원노조 사무총장) ▷ 안딜레 실랄라(남아공 지방공무원노조SAMWU 사무부총장) ▷ 유병홍(공공연맹 정책국장) ▷ 이을재(전교조 교섭국장)
12:00 - 14:00 점심
14:00 - 17:30 워크숍
- "사유화·개방화와 노동조합의 대응"(국제회의장)
- 사회자 : 나카오카 모토아키(전노협 부위원장)
- 발제자
▷ 마하데반(전全인도노동조합회의 사무총장) ▷ 조희주(전교조 부위원장) ▷ 솜삭 코사이숙(태국철도노조 위원장) ▷ 나상윤(공공연맹 정책실장) ▷ 비쉬누 리말(네팔노총 사무총장)

- "신자유주의와 노동의 비정규직, 비공식화 그리고 빈곤화"(국제회의실)
- 사회자 : 홍준표(민주노총 부위원장)
- 발제자
▷ 롭 램버트(SIGTUR 코디네이터) ▷ 플로엔피티 스리시리(태국 여성노동자단결 사무처장) ▷ 툐노(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노동조합SBR 위원장) ▷ 빅토르 브리즈(필리핀BMP 위원장) ▷ 이상학(민주노총 정책국장)

17:30 - 18:30 저녁

○ 11월 7일 금요일

09:00 - 09:30 일정 소개
09:30 - 12:00 전체 회의 및 워크숍 보고(국제회의실)
- 보고자 : 각 워크숍별로 자체 결정
12:00 - 14:00 점심
14:00 - 17:45 아시아 노동운동 지도자 전략 회의(국제회의실)
- 사회자 : 아로키아 다스(SIGTUR 방콕총회 조직 담당자)
- 기조발제 : 이재웅(민주노총 사무총장)
19:00 - 폐막 문화제(국제회의실)
- 일시 : 2001년 11월 7일(금) 19:00
- 장소 : 한국여성개발원 식당
- 참여예상인원 : 외국인 30명, 내국인 50명
- 프로그램(사회 : 김호정 사무금융연맹 대협국장)
▷ 율동배우기 : 신수정 ▷ 공연 : 터울림 ▷ 폐막 인사 : 이향원 부위원장 ▷ 참가자 소감 발표
▷ 폐막 공연 : 꽃다지 ▷ 다함께 노래 : <임을 위한 행진곡>

○ 11월 8일 토요일
09:00 - 13:30 마석 모란공원 방문
13:30 - 19:00 농성장 방문, 관광 및 자유 시간
19:00 - 21:00 저녁 식사(민주노동당 주관)
21:00 - 노동자대회 전야제 참석

○ 11월 9일 일요일
전국노동자대회 참석

○ 11월 10일 월요일 인천국제공항출국

수정    삭제          목록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