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2004. 2. 11 성명서 >
정개특위는 기득권지키기에 연연하지말고 진정한 개혁의 길로 나서야한다
1. 이번에 국회 정개특위에서 4당간사들이 합의한 개혁안은 정치발전을 가로막는 심각한 개악안을 담고 있다.
첫째 97.98년 노동자 대투쟁에 의해 확보한 노동조합정치활동의 자유를 일거에 박탈하고 있다. 개악된 정치자금법에 의하면"기업.단체(단위 노동조합 및 상급단체 포함) 정치자금 후원(현행 2억 5천만원 한도)전면금지"라는 조항은 기업의 불법적인 유착행위를 한국정치의 민주적 개혁을 추구하는 행위와 동일시하는 몰염치한 음모이다. 조합원들이 십시일반으로 5천원, 만원씩 거두어 정치발전에 기여하는 일이 어떻게 기업의 검은 정치자금과 동일시 될 수 있는가?
둘째 의원정족수를 273명으로 동결한 채 인구 상한선을 10만5천명에서 31만 5천명으로 조정함으로써 지역구는 최대 10명까지 늘어나고 비례대표는 최대 10명까지 즐어들게 되었다. 애초 비례대표제의 취지가 지역주의를 타파하고 정책정당, 직능별 대표성의 반영에 있음에 비추어볼 때 현행보다 10석을 줄인다는 것은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무색케하고 각 정당의 기득권옹호에 더 큰 관심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셋째 비례대표가 줄게되면 그동안 여성비례대표에 50%이상 할당하기로 한 방침도 공염불이 될 공산이 크다. 이는 그동안 여성의 정치진출을 지원하고 양성평등의 정신을 구현한다던 정책기조와는 정면 배치되는 일이다.
넷째 현행 선거연령을 만 20세로 고수하여 젊은 세대들의 정치참여확대를 가로막았다. 특히 한나라당은 선거연령 인하에 반대함으로써 스스로 우리사회의 보수화를 유지온존 시킬려고 한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게되었다.
다섯째 현행 오전6시에서 오후 6시까지인 투표시간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약 200만명에 이르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표권을 사실상 가로막았다. 유통업체 종사자, 운수업체종사자, 일용직근로자 등 선거일에도 근무를 할 수 밖에 없는 노동자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음으로서 사실상 이들의 참정권을 제한한 것이다. 결국 기존의 정치권은 이들 노동자, 민중의 삶과는 상관없는 그들만의 잔치로 선거를 치르고자하는 의도를 드러내었다.
2.민주노총은 이번 총선에서 민생을 외면하고 기득권에만 골몰하는 썩은 정치판을 갈아엎기위해 45명의 후보를 확정하고 준비 중에 있다. 정치권의 개혁은 이제 정치권 스스로의 힘으로는 도저히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노동계의 정치세력화와 의회진출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역사의 도도한 강물로 되어 흐르고 있다. 이 흐름을 거부하려는 정개위의 얄팍한 음모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민주노총은 정개위의 개악안을 거부하고 진정한 정치개혁법 쟁취를 위한 투쟁을 전개할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끝>
정개특위는 기득권지키기에 연연하지말고 진정한 개혁의 길로 나서야한다
1. 이번에 국회 정개특위에서 4당간사들이 합의한 개혁안은 정치발전을 가로막는 심각한 개악안을 담고 있다.
첫째 97.98년 노동자 대투쟁에 의해 확보한 노동조합정치활동의 자유를 일거에 박탈하고 있다. 개악된 정치자금법에 의하면"기업.단체(단위 노동조합 및 상급단체 포함) 정치자금 후원(현행 2억 5천만원 한도)전면금지"라는 조항은 기업의 불법적인 유착행위를 한국정치의 민주적 개혁을 추구하는 행위와 동일시하는 몰염치한 음모이다. 조합원들이 십시일반으로 5천원, 만원씩 거두어 정치발전에 기여하는 일이 어떻게 기업의 검은 정치자금과 동일시 될 수 있는가?
둘째 의원정족수를 273명으로 동결한 채 인구 상한선을 10만5천명에서 31만 5천명으로 조정함으로써 지역구는 최대 10명까지 늘어나고 비례대표는 최대 10명까지 즐어들게 되었다. 애초 비례대표제의 취지가 지역주의를 타파하고 정책정당, 직능별 대표성의 반영에 있음에 비추어볼 때 현행보다 10석을 줄인다는 것은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무색케하고 각 정당의 기득권옹호에 더 큰 관심이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셋째 비례대표가 줄게되면 그동안 여성비례대표에 50%이상 할당하기로 한 방침도 공염불이 될 공산이 크다. 이는 그동안 여성의 정치진출을 지원하고 양성평등의 정신을 구현한다던 정책기조와는 정면 배치되는 일이다.
넷째 현행 선거연령을 만 20세로 고수하여 젊은 세대들의 정치참여확대를 가로막았다. 특히 한나라당은 선거연령 인하에 반대함으로써 스스로 우리사회의 보수화를 유지온존 시킬려고 한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게되었다.
다섯째 현행 오전6시에서 오후 6시까지인 투표시간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약 200만명에 이르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표권을 사실상 가로막았다. 유통업체 종사자, 운수업체종사자, 일용직근로자 등 선거일에도 근무를 할 수 밖에 없는 노동자들을 전혀 배려하지 않음으로서 사실상 이들의 참정권을 제한한 것이다. 결국 기존의 정치권은 이들 노동자, 민중의 삶과는 상관없는 그들만의 잔치로 선거를 치르고자하는 의도를 드러내었다.
2.민주노총은 이번 총선에서 민생을 외면하고 기득권에만 골몰하는 썩은 정치판을 갈아엎기위해 45명의 후보를 확정하고 준비 중에 있다. 정치권의 개혁은 이제 정치권 스스로의 힘으로는 도저히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다. 노동계의 정치세력화와 의회진출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역사의 도도한 강물로 되어 흐르고 있다. 이 흐름을 거부하려는 정개위의 얄팍한 음모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민주노총은 정개위의 개악안을 거부하고 진정한 정치개혁법 쟁취를 위한 투쟁을 전개할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