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철도공사는 인권유린과 협박성 시한경고 등 부당노동행위를 중단하라!
철도공사는 파업철회 이후 복귀한 조합원들과 여승무원에 대해 인권유린과 협박성 시한 경고 등 자극적인 조치들을 중단해야 한다. 이는 오늘 예정돼 있는 교섭에도 악영향을 미칠뿐더러 제2의 갈등으로 비화될 빌미가 되기 때문이다.
지금 KTX 여승무원들은 철도공사가 오늘 오후6시를 최종 복귀시한으로 일방 통보한 데 대해 이철 사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한국철도공사 서울지역본부 1층 로비와 2층 복도 등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정규직화'의 요구를 "당장 정규직으로 전환해주지 않더라도 철도공사 직원으로 신분을 전환해 달라"는 요구로 수정하여 제안했는데도 수용할 수 없다는 철도공사의 속내는 분명 다른 데 있다. 시민들에 대한 공공서비스의 보장보다는 결국 노동자를 돈으로 생각하고 끝까지 외주화 하겠다는 발상을 버리지 않으려는 데에 있다.
특히 지금 철도 광주전기사무소에서는 인권유린 등 부당노동행위가 판을 치고 있다. 직위해제와 고소고발은 물론 인권침해 등 타사무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아예 직위해제자 대기장소에 감시자를 보내 화장실 가는 것조차 보고를 하게 하고, 직위해제자의 대화내용을 기록하여 20분마다 확인, 인원체크를 하는 등 심각한 인권유린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대기장소에서 현장분소의 기술원 업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노트북의 LAN선을 끊고, 지부실전등을 차단하는 것뿐 아니라 퇴근 후에는 관리팀장이 직위해제자에게 전화를 걸어 강원도로 전출 보낼 것을 협박하는 부당노동행위까지 일삼고 있다.
더구나, 임신 중인 조합원이 몸의 이상을 호소하며 산부인과에 가기 위해 조퇴할 것을 요구하였음에도, 가능여부를 지역본부에 질의하였다는 것을 핑계로 조퇴도 거부하였다. 이런 상식에 어긋나는 행위로는 결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노조가 무조건 현장에 복귀하여 교섭조건이 이루어진 마당에 이철 사장이 징계, 손배, 협박성 인사조치 등으로 일관하고 있는 태도는 결코 교섭과 타결에 뜻이 있는 것이 아니라, 노조 와해에 그 목적이 있다.
철도공사는 자체 내부의 한 감사가 직원들에게 보낸 "'3.1파업'이 부당한 파업이라고 생각지 않는다"며 "정책수정을 요구하는 투쟁이라면 철도부채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일에 초점이 모아졌어야 한다."라는 최근에 밝혀진 이메일의 내용을 곰곰이 되새기기 바란다.
2006. 3. 10.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철도공사는 파업철회 이후 복귀한 조합원들과 여승무원에 대해 인권유린과 협박성 시한 경고 등 자극적인 조치들을 중단해야 한다. 이는 오늘 예정돼 있는 교섭에도 악영향을 미칠뿐더러 제2의 갈등으로 비화될 빌미가 되기 때문이다.
지금 KTX 여승무원들은 철도공사가 오늘 오후6시를 최종 복귀시한으로 일방 통보한 데 대해 이철 사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한국철도공사 서울지역본부 1층 로비와 2층 복도 등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정규직화'의 요구를 "당장 정규직으로 전환해주지 않더라도 철도공사 직원으로 신분을 전환해 달라"는 요구로 수정하여 제안했는데도 수용할 수 없다는 철도공사의 속내는 분명 다른 데 있다. 시민들에 대한 공공서비스의 보장보다는 결국 노동자를 돈으로 생각하고 끝까지 외주화 하겠다는 발상을 버리지 않으려는 데에 있다.
특히 지금 철도 광주전기사무소에서는 인권유린 등 부당노동행위가 판을 치고 있다. 직위해제와 고소고발은 물론 인권침해 등 타사무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아예 직위해제자 대기장소에 감시자를 보내 화장실 가는 것조차 보고를 하게 하고, 직위해제자의 대화내용을 기록하여 20분마다 확인, 인원체크를 하는 등 심각한 인권유린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대기장소에서 현장분소의 기술원 업무를 돕기 위해 사용하는 노트북의 LAN선을 끊고, 지부실전등을 차단하는 것뿐 아니라 퇴근 후에는 관리팀장이 직위해제자에게 전화를 걸어 강원도로 전출 보낼 것을 협박하는 부당노동행위까지 일삼고 있다.
더구나, 임신 중인 조합원이 몸의 이상을 호소하며 산부인과에 가기 위해 조퇴할 것을 요구하였음에도, 가능여부를 지역본부에 질의하였다는 것을 핑계로 조퇴도 거부하였다. 이런 상식에 어긋나는 행위로는 결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노조가 무조건 현장에 복귀하여 교섭조건이 이루어진 마당에 이철 사장이 징계, 손배, 협박성 인사조치 등으로 일관하고 있는 태도는 결코 교섭과 타결에 뜻이 있는 것이 아니라, 노조 와해에 그 목적이 있다.
철도공사는 자체 내부의 한 감사가 직원들에게 보낸 "'3.1파업'이 부당한 파업이라고 생각지 않는다"며 "정책수정을 요구하는 투쟁이라면 철도부채 문제가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질 수 있도록 하는 일에 초점이 모아졌어야 한다."라는 최근에 밝혀진 이메일의 내용을 곰곰이 되새기기 바란다.
2006. 3. 10.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