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공지사항

[토론회] 다시 시작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책 방향 모색

작성일 2025.05.22 작성자 정책실 조회수 109

 

 

공공비정규직_토론회_웹포스터_세로형A1080x1360_수정.jpg

 

다시 시작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책 방향 모색

 

 

(1) 개요

일시 : 2025530() 오전 10

장소 :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

주최 : 민주노총, 국회의원(김주영, 이용우)

 

 

(2) 취지

지난 윤석열 정부 3년 기간은 비정규직 대책 제로기간이었음. 윤석열 정부는 2004년 처음으로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이 나온 이후 비정규직 대책을 발표하지 않은 첫 정부임. 정부의 국정과제에도 비정규직과 관련한 언급을 찾아볼 수 없었음.

 

 

그 결과 고용노동부의 비정규직 고용정보시스템 업데이트도 22년 발표 이후 업데이트가 중단됨. 현장에서는 비정규직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공공기관 계약직, 임기제 공무원, 재정지원일자리 등 비정규직 일자리가 증가하고 있으며, 민간위탁도 더 증가하였음.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정책으로 공공부문 비정규직은 공무직, 공공기관 무기계약직, 자회사 등 형태로 전환되어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고용안정성의 측면은 강화되는 성과가 있었음. 하지만 윤석열 정부 3년 기간 동안 비정규직 대책이 사라지면서 차별해소나 처우개선에 관한 논의는 전면 중단된 상황임.

 

 

또한 공공부문 비정규직과 관련한 주요 정책 등을 논의하던 기구인 공무직위원회는 노동계의 연장 요구에도 윤석열 정부에 의해 20233월 말로 일몰됨. 공무직위원회는 공무직 인사관리 가이드라인, 공무직 임금 및 수당 기준 마련 계획, 복리후생 3종세트 이행실태 및 이행계획 확정, 예산관련 건의서 마련, 인건비 예산 제도개선, 공무직 주요 직종 임금 실태조사 및 분석결과 보고서등 소기의 성과를 낸 바 있음. 하지만 공무직위원회의 일몰로 구체적인 공무직 노동자에 대한 인사기준 마련이나 노동조건 개선까지 도달하지 못함.

 

 

새로운 정부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등장으로 사라진 정부 차원의 비정규직 정책이 다시 시작되어야 함. 저임금-장시간 구조와 간접고용으로 인한 문제, 차별 등 현장에는 지난 정부의 무대책으로 인하여 해소되지 못한 현안이 산재해 있음. 이에 본 토론회를 통해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의 현장의 요구를 듣고,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책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3) 프로그램

진행 : 채준호 교수(전북대 경영학과)

 

 

현장노동자 증언

김보미 공공운수노조 인천지역본부 국립생물자원관지회 사무국장

김지현 민주일반연맹 공공연대노조 홍천지회장

정안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장

전현욱 서비스연맹 전국돌봄서비스노조 사무처장

함주식 민주일반연맹 민주연합노조 사무처장

최윤영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 전국급식분과장

성석주 서비스연맹 학교비정규직노조 예술강사분과 전국분과장

 

 

발제

발제1 : 정흥준 교수(서울과기대 경영학과)

-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전환 평가 및 나아갈 방향과 정책

발제2 : 권오성 교수(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 모범사용자로서 정부의 역할과 공무직위원회 상설화

 

 

지정토론

공공운수노조 정양현 정책부장

민주일반연맹 이정민 정책실장

서비스연맹 박정호 학비노조 정책실장

보건의료노조 최복준 정책실장

고용노동부

기재부

인사혁신처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