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보 도 자 료 |
|
2025년 5월 14일(수) |
김석 정책국장 010-3237-5940 |
|
(우) 04518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 14층 | 대표전화 (02) 2670-9100 |
“21대 대선, 공공재생에너지 확대 및
발전노동자 총고용 보장을 약속하라!”
양대노총, 민주당 국회의원, 기후시민사회단체 함께 요구
○ 21대 대선을 앞두고,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기후시민사회단체는 공동으로 공공재생에너지 확대와 발전노동자 총고용 보장을 촉구했다.
○ 더불어민주당 정진욱, 김동아 국회의원과 기후위기비상행동, 기후정의동맹, 전국민중행동 및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5월 14일(수)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소통관에서 ‘공공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 기자회견 참여단체들은 기후위기 해결, 재생에너지 민영화 저지, 발전노동자들의 총고용 보장을 위한 정의로운 전환의 대안으로 공공재생에너지 확대를 요구했다. 특히 21대 대선에 출마한 각 후보들에게 <공공재생에너지법> 제정을 약속할 것을 촉구하였다.
○ 기자회견 사회를 맡은 김동아 의원은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서 재생에너지를 빠르게 늘려야 하지만, 에너지 공공성을 지키는 일도 소홀히 할 수 없다”며 기자회견 취지를 밝혔다.
○ 류기섭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탄소중립 정책으로 재생에너지는 빠르게 확대되어야 하지만, 그것을 민간 기업과 해외 자본에 맡긴다면 에너지 주권을 지킬 수 없다”며, 공공재생에너지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홍지욱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올해 12월부터 태안 1호기를 시작으로 석탄발전소 폐쇄가 이어진다. 발전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지킬 대안이 필요하며, 공공재생에너지가 그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 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를 대표해 이태성 발전비정규직연대 집행위원장은 “발전노동자들은 석탄발전소 폐쇄에 동의했고, 그 이유는 기후위기가 심각하는 것을 알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사회도 우리의 일자리를 보장해줘야 한다. 우리는 대안으로 공공공재생에너지를 요구한다”고 말했다.
○ 발전소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를 대표해서 조인호 서부발전노조 위원장은 “발전노동자들은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며. “국가가 공적 투자와 공적 개발로 재생에너지, 특히 해상풍력을 개발하고, 여기에서 발전노동자의 일자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기후운동을 대표해서 발언에 나선 은혜 기후정의동맹 집행위원장은 “ 한국의 재생에너지 이용 비중은 이제야 겨우 10%에 도달했다. 이 마저도 민간 기업과 해외 자본의 이윤창출의 수단이 되어 그 속도도, 과정도 돈이 되는 방식을 따라 추진된다”고 비판하면서 “바람과 태양은 돈있는 자들이 소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공공적으로 개발해야 신속하고도 민주적으도 확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공공재생에너지운동을 펼치고 있는 공공재생에너지포럼 정세은 대표(충남대 교수)는 “신속하게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수익성에 따라 움직이는 시장에 맡겨서는 안되며, 국가가 공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면서. “그래야 보다 적은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또한 이익을 모두가 향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공공재생에너지운동을 앞장서 펼쳐온 공공재생에너지연대와 공공재생에너지포럼도 함께 했다. 김흥수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 송민 공공노련 상임부위원장, 한재각 공공재생에너지연대 활동가도 참여해, 기후환경운동과 노동운동의 굳건한 공동의 인식과 의지를 보여주었다.
[붙임]
1. 기자회견 개요
2. 기자회견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