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보 도 자 료 |
|
2025년 7월 8일(화) |
박은정 정책국장 010-2622-9306 |
|
(우) 04518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 14층 | 대표전화 (02)2670-9100 | FAX (02)2635-1134 |
“전국 1,331개 산업단지에, 300만 노동자가 있다”
노동자 권리보장 산업단지 전환,
민주노총 요구 발표 기자회견
1. 개요
○ 제목 : “노동자 권리보장 산업단지 전환” 민주노총 요구 발표 기자회견
○ 일시 : 2025. 7. 8. (화) 오전 10시
○ 장소 : 민주노총 16층 중회의실
2. 취지
- 2025년 4월 현재, 전국 1,331개 국가․일반․도시첨단․농공 산업단지에는 276만을 넘어선 노동자가 고용된 것으로 등록되어 있어, △파견 노동자나 플랜트 노동자나 용역 노동자와 같이 산업단지 입주기업에 직접 고용되지 않았지만 산업단지에서 일하는 노동자, △특수고용 노동자와 같은 비전형 노동자나 미등록 이주노동자 등 노동법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 등을 고려하면 300만 명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추정됨.
- 하지만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 관리 및 운영 관련 법령과 산업단지 정책을 입안하고 행정을 담당하는 정부와 지자체 정책의 한계로. 300만이 넘는 산업단지 노동자는 산업단지 정책과 제도에 포함되지 않고 있으며, 노동정책 수립이나 노동관계법 이행 촉진 및 감독 행정에 산업단지 정책이나 관리 체계를 결합하지 못하고 있음.
- 이재명 정부는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공약으로 비전별 15대 과제 중, 6대 과제에서 산업단지를 언급했지만, 과제별 산업단지 공약에는 산업단지에서 일하는 노동자 권리를 언급하지 않았음. 기후위기나 안전 관리 등 노동환경에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서도 이전 정부들에서 고시한 제4차 ~ 제5차 산업집적활성화기본계획에 담긴 산업단지 인프라 확충 계획을 답보했음.
- 민주노총은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중앙 및 지방정부임에도, 산업단지에서 일하는 노동자는 대다수 중․소․영세, 미조직 노동자의 복지와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산업단지 제도와 정책이 없는 실태 개선이 필요하며, 새 정부가 ‘노동자 권리가 보장되는 산업단지’를 위해 정책 전환을 진행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함.
3. 진행
사회: 박은정 민주노총 정책국장
○ 여는 발언 : 함재규 민주노총 부위원장
○ 산별 대표 발언1. 산업단지 정책 노동조합 참여 보장 필요성 / 엄상진 금속노조 사무처장
○ 산별 대표 발언2. 산업단지 초기업교섭 활성화를 위한 정부 책임 / 임영국 화섬식품노조 사무처장
○ 민주노총 산업단지 노동자권리보장 요구 발표
의제별 ※ 번호는 민주노총 요구 순서 |
발표자 |
1. 산업단지 정책에 노동자 참여 보장, 3. 노동 동행 산업단지 전환 |
엄상진 금속 사무처장 |
2. 산업단지 초기업교섭 보장 |
임영국 화섬식품노조 사무처장 |
4. 산업단지 노동안전 체계 개선 |
곽이경 노동안전국장 |
5. 산업단지 재생에너지 시설 확충 |
김석 정책국장 |
6. 산업단지 이주노동자 지원 인프라 확충 |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 |
※ 기자회견문 (낭독하지 않고 문서로 대신함)
○ 퍼포먼스 / 발언자, 의제 요구 발표자
[붙임]
1. 기자회견문 3
2. 기자회견 참가자 발언문 5
<여는 발언> 함재규 민주노총 부위원장 5
<산별 대표 발언 1> 엄상진 금속노조 사무처장 6
<산별 대표 발언 2> 임영국 화섬식품노조 사무처장 8
3. 노동자 권리보장 산업단지 정책 전환, 민주노총 요구 10
<참고자료1> 산업단지 노동자 편의시설 현황 및 정부 확충 계획 22
<참고자료 2> 2024년 민주노총 노동환경실태조사 중 산업단지 노동자 현황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