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조선일보의 산재 가해 기업 대변, 용납할 수 없다
오늘(8일)자 조선일보 「유독 포스코이앤씨에만 집중포화… 정치적 의도 있나」 기사는, 잇따른 노동자 사망사고에 대한 사회적 분노와 근본 대책 요구를 왜곡하고, 가해 기업의 책임을 희석하는 반노동적 프레임으로 가득 차 있다.
불분명한 출처와 여론 호도
기사 전반에 걸쳐 “재계 일각” “대기업 관계자” 등 익명 발언을 반복 인용하며, ‘대통령과 정부·여당이 특정 기업을 겨냥한다’는 정치적 의도를 암시한다. 이는 명확한 사실 검증 없이 기업 책임을 흐리고, 피해 노동자와 유가족의 목소리를 지우는 악의적 행위다.
통계 분석 왜곡 가능성
기사 후반에 “최근 5년간 포스코이앤씨가 사망자가 가장 적었다”는 자료를 인용하지만, 이는 ‘절대 사망자 수’만 비교한 것이다. 중대재해처벌법은 단순히 사망자 수뿐 아니라 사고 반복 여부, 예방 조치 불이행, 구조적 관리 부실을 중시한다. 더구나 ‘가장 적었다’고 하면서 올해 들어 단기간에 중대재해가 연달아 발생한 사실을 물타기 한다.
또한 월·금 사고 집중을 “휴일 전후 부주의”처럼 설명하지만, 이는 기업의 구조적 관리 부실로 해석해야 한다.‘패턴을 알고도 대책이 무용지물’이었다면, 오히려 엄중 처벌 사유가 강화되는 근거다.
기업 간 비교로 책임 희석
다른 건설사와 비교해 사망자가‘적다’는 점을 강조하며 ‘왜 이 회사만 공격하느냐’는 논리를 편다. “최근 5년간 10대 건설사 재해사망자 수에서 포스코이앤씨가 가장 적었다”는 것이다. 이는 중대재해의 심각성과 반복성을 무시한 논리다. 포스코이앤씨 재해가‘가장 적었다’면, 반대로 특정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관리 시스템이 무너진 건설업 전반의 문제다.
반 노동적 관점
기사 말미에 “고령화, 외국인 노동자 비율” 을 언급하며 마치 사고 원인이 노동자 개인 특성에 있으로 몰아간다. 고령·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높으면 더 철저한 안전 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산업안전 원칙이다. 산재를 ‘어쩔 수 없는 구조적 요인’처럼 서술하는 것은 기업의 관리·감독 책임을 희석한다.
정치적 의도 몰기
조선일보는‘대통령이 특정 기업을 겨냥’했다고 한다. 노동자 시민의 분노가 높아지고, 중대재해처벌법·건설산업기본법 개정 논의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산재사망이 줄을 잇는 기업을 처벌하자는 것을 왜 문제 삼는가. 이를 ‘정치적’이라고 몰아가는 건, 기업의 책임 회피를 변호하는 행위 일 뿐이다.
민주노총은 밝힌다
노동자가 목숨을 잃어가는 현장에서 필요한 것은 정치공세 프레임이 아니라, 철저한 진상 규명과 가해 기업의 책임 있는 사과, 재발방지 대책이다. 중대재해는 ‘숫자’가 아니라 ‘사람의 생명’ 문제라는 말이다.
조선일보를 비롯한 보수 우익세력이 노동자의 생명보다 기업 이윤을 변호하며 여론을 호도하는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 민주노총은 이번 사안은 산재 근절을 위한 출발점으로, 더 이상 반복되는 죽음을 막기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임을 밝힌다.
2025.8.8.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