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 Login

가맹산하조직별로 발급한 아이디로만 접속 가능하며, 개인 아이디는 사용 불가합니다.

search

성명·보도

[논평] 트럼프에게 자금을 퍼줄 것이 아니라, 한국 노동자와 기업을 지켜야 한다

작성일 2025.09.16 작성자 대변인 조회수 79

[논평]

 

트럼프에게 자금을 퍼줄 것이 아니라,

한국 노동자와 기업을 지켜야 한다

 

최근 한미 관세 협상은 미국의 강한 압박 속에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춰주는 대신 한국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하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한국이 합의를 수용하지 않으면 다시 25% 관세를 감수해야 한다라며 압박했고, 이에 한국 정부는 무역대표단과 장관들을 잇따라 워싱턴에 파견했다. 그러나 투자 구조·외환 안정 장치·수익 배분 등 핵심 쟁점은 여전히 교착 상태다.

 

협상이 지연되는 가운데, 미국 내에서도 이번 합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경제정책연구센터(CEPR)의 딘 베이커 선임경제학자는 911일자 기고 글에서 일본과 한국은 돈을 도널드 트럼프가 아니라 자국의 수출업자들에게 줘야 한다고 지적하며 한국의 선택을 비판했다.

 

그는 "한국이 관세를 25%로 올리면, 한국의 대미 수출은 국내총생산(GDP)0.7%125억달러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베이커는 한국이 3,500달러라는 거액을 미국에 내어줄 것이 아니라, 3,500억 달러의 5%(175억 달러)만으로도 국내 수출기업과 노동자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방식이 훨씬 효율적이고 국익에도 부합한다는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 트럼프의 불확실성에 끌려다닐 필요도 없어진다"면서 현재의 협상은 정말로 어리석은 짓이라고 일갈했다.

 

실제로 미국에 거액을 투자하는 방식은 관세 부담을 단기간 줄여줄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외환시장 불안과 국민 세금 낭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같은 재정을 국내 투자, 기술 경쟁력 강화, 일자리 안정 대책에 투입한다면 관세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경제 체력을 강화할 수 있다.

 

민주노총은 정부가 국익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고 다시 한 번 촉구한다. 미국에 현금 보따리를 내어주는 합의는 당장의 정치적 성과는 있을지 몰라도, 노동자와 국민에게는 미래의 부담으로 되돌아올 뿐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굴종적 합의가 아니라, 한국 노동자와 기업을 지켜내는 산업정책이다. 결국 정부가 선택해야 할 길은 분명하다. 한국의 자금을 트럼프가 아니라 한국의 노동자와 수출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다. 그것이야말로 불확실한 통상 환경 속에서도 한국 사회가 흔들림 없이 나아가는 길이다.

 

 

2025.9.16.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CLO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