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홈플러스 청산 위기,
정부는 즉각 나서 공적책임을 다하라
홈플러스 사태가 7개월을 넘어섰다. 그동안 노동자와 입점상인, 납품업체, 협력업체, 투자자들은 끝이 보이지 않는 불안 속에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매출은 줄고 점포 폐점은 이어지고 있으며, 곳곳에서 실업과 도산의 공포가 현실이 되고 있다. 기업회생절차가 개시된 이후에도 사태는 전혀 진전되지 못한 채 정체돼 있다.
지금 홈플러스는 회생을 위한 마지막 고비에 서 있다. 공개경쟁입찰기한인 10월 31일이 불과 며칠 앞으로 다가왔지만, 인수의향자는 확정되지 못한 상태다. MBK는 회생절차의 주체로서 성실히 임해야 함에도, 그 어떤 책임 있는 행동도 보이지 않는다. 홈플러스의 경영위기를 초래한 장본인임에도 불구하고, MBK는 여전히 ‘펀드 운용자’라는 명분 뒤에 숨어 사태를 방관하고 있다.
지난 국정감사에서도 MBK 김병주 회장은 “나는 MBK의 총수가 아니다”라며 “내가 맡은 역할은 펀드레이징(자금 조달)과 투자처 관리일 뿐”이라며, 홈플러스 위기에 대한 책임을 부인했다. 그 발언은 수많은 노동자와 입점업체, 납품업체의 분노를 자아냈다. 홈플러스의 위기는 단순한 경영상의 실패가 아니다. 사모펀드가 이윤만을 추구하며 기업의 자산을 매각하고, 임차 구조로 전환해 재무적 이익을 챙긴 결과이다. MBK는 홈플러스의 가치를 훼손하고 수많은 피해자를 만들어낸 사회적 책임의 당사자다.
이제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인 11월 10일이 눈 앞에 닥쳤다. 인수자가 없는 상태로 회생계획안이 제출된다면, 그것은 곧 홈플러스 청산의 시작을 의미한다. 청산은 전국 10만여 명의 노동자와 그 가족, 입점업주, 납품업체, 지역 상권이 무너지는 사회적 재난이다. 홈플러스 점포가 문을 닫으면 그 지역 상권 전체가 타격을 입고, 주민 생활 편의와 지역 경제 기반이 동시 붕괴될 것이다. 나아가 국민연금 등 공공자금 손실로 이어져 국민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가게 된다.
이런 위기 앞에서 현장 노동자들은 직영, 협력, 입점업주를 막론하고 “홈플러스를 살리자”는 한 목소리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 지역주민들과 시민사회단체, 정치권에서도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현장은 이미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절박한 호소로 가득 차 있다.
MBK에 맡겨둬서는 홈플러스를 살릴 수 없다. 정부는 더 이상 사태를 지켜보지 말고 공적 개입에 나서야 한다. 공적 매각, 공기업 참여,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의 지원을 포함한 모든 방안을 즉시 검토해야 한다. 홈플러스의 회생은 단순히 한 기업의 생존을 넘어, 대형유통산업과 지역경제, 그리고 노동자의 일자리를 지키는 문제다.
지금이 마지막 기회다. 이재명 정부가 결단하지 않으면 홈플러스는 청산의 길로 내몰리고, 그 피해는 노동자와 서민에게 전가될 것이다. 민주노총은 정부가 즉각 나서 홈플러스의 회생을 위한 공적 역할을 다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수십만의 일자리와 지역경제, 국가경제를 지키는 일은 정부의 책무이자 책임이다.
2025.10.24.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