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 2001.11.16 보도자료 1 >
노동부 발표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분석해보니…
노동부가 해마다 발표하는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을 비교 분석한 자료가 나왔습니다. 민주노총은 <노동부 노동조합 조직현황 결과 분석> 자료를 내고 조직 추이를 상세히 다뤘습니다. 이에 따르면 노조 조직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동부는 최근 2000년 말 현재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을 내놓았습니다.
□노조원수·조직률·노조수 … 최근 1∼2년 사이 바닥 치고 오름세
첫째, 89년 이후 추락세를 보이던 노조운동은 최근 1∼2년 사이 노조원수, 조직률, 노조수 면에서 바닥을 치고 오름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조직대상 노동자 가운데 노조원이 차지하는 비율인 노동조합 조직률은 1989년 19.8%를 정점으로 계속 떨어저 1999년 11.9%를 기록하다 2000년 들어 0.1%가 상승 12.0%를 기록했습니다.
○ 노동조합 조합원수는 1989년 193만2천415명을 정점으로 계속 줄어 1998년 140만1천940명을 기록했으나 99년 148만666명, 2000년 152만6천995명 등 2년 연속 늘어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 노동조합수는 1990년 7천656개를 정점으로 줄어들어 1998년 5천560개를 기록하다 1999년 5천637개, 2000년 5천698개로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 두 노총 조직규모 변동 … 5년 새 한국노총 33만↓ 민주노총 20만↑
둘째, 1995년 11월11일 민주노총 창립으로 두 노총 시대 개막 5년 동안 한국노총은 33만여 명이 줄어든 반면, 민주노총은 20여만 명이 늘어나 조직규모 차이를 크게 좁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1995년 120만 8천52명이던 한국노총은 5년만에 28% 33만5천939명이 줄어든 87만2천113명, 95년 40만6천748명이던 민주노총은 51% 20만8천203명이 늘어난 61만4천951명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 이로서 1995년 민주노총 창립 당시 한국노총 대 민주노총 조합원수 비율이 75 대 25 이었으나, 5년 뒤인 2000년엔 59 대 41로 두 노총 조직 규모 차이를 급격히 좁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단위 노조 평균 노조원수는 한국노총 232명 민주노총 452명, 산별연맹(노조) 평균 노조원수는 한국노총 3만1천147명 민주노총 3만8천434명으로, 한국노총에 비해 민주노총의 단위노조와 산별연맹(노조) 규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산업별 노조원수 변화 … 교사·비정규직·공공↑ 금융·해상·버스↓
셋째, 산업별로는 교직원노조 합법화 영향을 받은 교사와 비정규직을 필두로 공공·건설·병원·언론출판·금속 순으로 노조원이 늘어난 반면, 금융구조조정 영향을 받은 금융을 필두로 해상·버스(자동차노련)·항운·광산 순으로 노조원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00년 들어 전교조 1만8천346명 한교조 46 명 등 교직원 노조원 수가 99년에 비해 1만8천392명이 늘어났으며, 비정규직이 대부분으로 보이는 산별연맹을 거치지 않은 직가입 1만5천447명, 공공 6천880명, 건설 6천780명, 병원 6천758명, 언론출판 2천794명, 금속 2098명이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00년 들어 금융산업은 전년도에 비해 1만2천354명의 노조원이 줄었고, 해상 7천516명, 버스 5천475명, 항운 915명, 광산 453명이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규모별 노조원수 변화 … 5000명 이상↑ 5000명 미만↓
넷째, 최근 5년 동안 외환위기에 따른 기업합병과 노조통합의 영향으로 5천명 이상 대규모 노조원수는 늘어난 데 비해, 5천명 미만 노조원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 1995년 35개 노조 46만 여명(전체 노조원의 28.5%)이던 5천명 이상 대규모 노조는 기업합병과 노조통합의 영향으로 2000년엔 35개 노조 63만6천 여명(전체 노조원의 41.7%)으로 늘었습니다.
○ 219개 노조 42만 3천명이던 1천명 이상 5천명 미만 노조는 161개 32만4천여 명으로, 268개 18만4천여 명이던 500인 이상 1천명 미만 노조는 205개 13만6천여 명으로 5년 동안 각각 줄어들었습니다.
○ 500인 미만 노조 또한 6천352개 54만8천여 명이었으나 5년만에 36만여명 5천297개 42만9천여 명으로 줄었습니다.
□ 성별 노조원수 변화 … 남성 비해 여성 회복세 느려
다섯째, 89년 이후 남녀 노조원수는 모두 줄어들다 99년을 계기로 회복세로 돌아섰으나 외환위기 이후 여성이 집중 해고대상이 돼 남성에 비해 여성의 회복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89년 140만여 명에 이르던 남성 노조원수는 98년 114만여 명으로 줄어 들었으나 99년부터 늘기 시작해 2000년엔 89년의 87% 수준인 122만명으로 불어났습니다.
○ 여성 노조원수는 89년 53만여 명에서 98년 23만까지 줄었다가 99년과 2000년 30만 수준까지 회복했으나 이는 89년의 57%에 머무르고 있어 회복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에 따라 노조원 내 남성 : 여성의 비율은 89년 73 : 27에서 2000년 80 : 20으로 여성 노조원의 비율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끝>
* <노동부 발표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분석 자료 - 첨부자료 참조
노동부 발표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분석해보니…
노동부가 해마다 발표하는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을 비교 분석한 자료가 나왔습니다. 민주노총은 <노동부 노동조합 조직현황 결과 분석> 자료를 내고 조직 추이를 상세히 다뤘습니다. 이에 따르면 노조 조직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동부는 최근 2000년 말 현재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을 내놓았습니다.
□노조원수·조직률·노조수 … 최근 1∼2년 사이 바닥 치고 오름세
첫째, 89년 이후 추락세를 보이던 노조운동은 최근 1∼2년 사이 노조원수, 조직률, 노조수 면에서 바닥을 치고 오름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조직대상 노동자 가운데 노조원이 차지하는 비율인 노동조합 조직률은 1989년 19.8%를 정점으로 계속 떨어저 1999년 11.9%를 기록하다 2000년 들어 0.1%가 상승 12.0%를 기록했습니다.
○ 노동조합 조합원수는 1989년 193만2천415명을 정점으로 계속 줄어 1998년 140만1천940명을 기록했으나 99년 148만666명, 2000년 152만6천995명 등 2년 연속 늘어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
○ 노동조합수는 1990년 7천656개를 정점으로 줄어들어 1998년 5천560개를 기록하다 1999년 5천637개, 2000년 5천698개로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 두 노총 조직규모 변동 … 5년 새 한국노총 33만↓ 민주노총 20만↑
둘째, 1995년 11월11일 민주노총 창립으로 두 노총 시대 개막 5년 동안 한국노총은 33만여 명이 줄어든 반면, 민주노총은 20여만 명이 늘어나 조직규모 차이를 크게 좁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1995년 120만 8천52명이던 한국노총은 5년만에 28% 33만5천939명이 줄어든 87만2천113명, 95년 40만6천748명이던 민주노총은 51% 20만8천203명이 늘어난 61만4천951명을 각각 기록했습니다.
○ 이로서 1995년 민주노총 창립 당시 한국노총 대 민주노총 조합원수 비율이 75 대 25 이었으나, 5년 뒤인 2000년엔 59 대 41로 두 노총 조직 규모 차이를 급격히 좁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단위 노조 평균 노조원수는 한국노총 232명 민주노총 452명, 산별연맹(노조) 평균 노조원수는 한국노총 3만1천147명 민주노총 3만8천434명으로, 한국노총에 비해 민주노총의 단위노조와 산별연맹(노조) 규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산업별 노조원수 변화 … 교사·비정규직·공공↑ 금융·해상·버스↓
셋째, 산업별로는 교직원노조 합법화 영향을 받은 교사와 비정규직을 필두로 공공·건설·병원·언론출판·금속 순으로 노조원이 늘어난 반면, 금융구조조정 영향을 받은 금융을 필두로 해상·버스(자동차노련)·항운·광산 순으로 노조원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00년 들어 전교조 1만8천346명 한교조 46 명 등 교직원 노조원 수가 99년에 비해 1만8천392명이 늘어났으며, 비정규직이 대부분으로 보이는 산별연맹을 거치지 않은 직가입 1만5천447명, 공공 6천880명, 건설 6천780명, 병원 6천758명, 언론출판 2천794명, 금속 2098명이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00년 들어 금융산업은 전년도에 비해 1만2천354명의 노조원이 줄었고, 해상 7천516명, 버스 5천475명, 항운 915명, 광산 453명이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규모별 노조원수 변화 … 5000명 이상↑ 5000명 미만↓
넷째, 최근 5년 동안 외환위기에 따른 기업합병과 노조통합의 영향으로 5천명 이상 대규모 노조원수는 늘어난 데 비해, 5천명 미만 노조원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 1995년 35개 노조 46만 여명(전체 노조원의 28.5%)이던 5천명 이상 대규모 노조는 기업합병과 노조통합의 영향으로 2000년엔 35개 노조 63만6천 여명(전체 노조원의 41.7%)으로 늘었습니다.
○ 219개 노조 42만 3천명이던 1천명 이상 5천명 미만 노조는 161개 32만4천여 명으로, 268개 18만4천여 명이던 500인 이상 1천명 미만 노조는 205개 13만6천여 명으로 5년 동안 각각 줄어들었습니다.
○ 500인 미만 노조 또한 6천352개 54만8천여 명이었으나 5년만에 36만여명 5천297개 42만9천여 명으로 줄었습니다.
□ 성별 노조원수 변화 … 남성 비해 여성 회복세 느려
다섯째, 89년 이후 남녀 노조원수는 모두 줄어들다 99년을 계기로 회복세로 돌아섰으나 외환위기 이후 여성이 집중 해고대상이 돼 남성에 비해 여성의 회복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89년 140만여 명에 이르던 남성 노조원수는 98년 114만여 명으로 줄어 들었으나 99년부터 늘기 시작해 2000년엔 89년의 87% 수준인 122만명으로 불어났습니다.
○ 여성 노조원수는 89년 53만여 명에서 98년 23만까지 줄었다가 99년과 2000년 30만 수준까지 회복했으나 이는 89년의 57%에 머무르고 있어 회복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에 따라 노조원 내 남성 : 여성의 비율은 89년 73 : 27에서 2000년 80 : 20으로 여성 노조원의 비율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끝>
* <노동부 발표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 분석 자료 - 첨부자료 참조